Effects of Kami-bangpungtongseong-san Extracts on the Mouse Skin Toxicated by Mercury

가미방풍통성산(加味防風通聖散)이 수은 중독된 마우스의 피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 양준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홍승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Received : 2010.02.18
  • Accepted : 2010.04.02
  • Published : 2010.04.25

Abstract

Objective : Mercuric chloride is excreted in the urine and stool. Bangpungtongseong-san(BT) has been used commonly skin disease and has diuresis and excretion effect.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effects of Kami- bangpungtongseong-san(KBT) on the skin disease toxicated by mercury. Method :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No treated group(Normal group), Mercuric chloride subcutaneous injection group(Control group) and Kami-bangpungtongseong-san-treated group (Sample group). KBT Extracts were delivered orally in 7 days in sample group. We observed epithelial cell hyperplastic, angiogenesi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skin. For the charting the results, image analysis was taken. The result of image analysis was verified significance by Sigmaplot 2000(P<0.05). Result : This study shows an relieving epithelial cell hyperplastic, angiogenesi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exposure skin on mercuric chloride.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we can expect to the effect of KBT extracts' therapeutic action to tissue injuries of the mice' skin on acute mercurial tox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Han YJ, Holsen TM, Lai SO, Hopke PK, Yi SM, Liu W, Pagano J, Falanga L, illigan M, Andolina C. "Atmospheric gaseous mercury concentrations in New York State: relationships with meteorological data and other pollutants," Atmospheric Environment, 2004(38):6431-46.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4.07.031
  2. Doull J, Klassen CD, Amdur MO. Casarett and Doull's Toxicology. 2nd ed. Macmillan Publishing Co. Inc. New York. 1980:421-35.
  3. Zalups RK. Progressive losses of renal mass and the renal and hepatic disposition of administered inorganic mercury. Toxicol Appl Pharmacol, 1995;130:121-31. https://doi.org/10.1006/taap.1995.1016
  4. 윤임중, 수은중독(상). 산업보건. 1984(6):7-9.
  5. 대한피부과학회 간행위원회. 피부과학 (개정5판). 여문각. 2008:184.
  6. 김보형, 홍황표, 김병기, 김정원, 허원. 금속수은 전신도포로 인한 신부전 및 골수부전을 보인 박탈피부염 1례. 대한피부과학회지 1981;19(2): 207-12.
  7. 신정식, 채병윤. 선유량탕, 자금정, 감두탕이 $HgCl_2$ 중독 가토의 신 및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경희한의대논문집. 1988;11(1):77-97.
  8. 최광돈, 이기남. 토복령을 이용한 Rats의 수은중독 해독에 관한 연구. 원광한의학회지. 1997;7(1):147-54.
  9. 정민주, 윤중식, 허진, 노영복, 최영복, 김종세, 이현화. 흰 민들레 (Taraxacum coreanum) 추출물이 급성 수은 중독된 생쥐의 간에 미치는 효과. 한국현미경학회지. 2008;38(1):1-10.
  10. 류충열. 어성초 약침 자극이 HgCl2로 손상된 흰쥐의 신장 및 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16(4):223-44.
  11. 조민수. 홍화자 약침이 수은중독에 의한 가토의 급성신부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8;15(1):503-13.
  12. 강성길. 대극수침이 진통 및 수은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동서의학. 1982;17:31-7.
  13. 劉完素. 宣明方論. 서울:여강출판사. 1988;券十二:76.
  14. 이우열, 윤일지, 오민석. 防風通聖散에 대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5;14(1):164.
  15. 김병우, 김덕곤. 방풍통성산이 비만유도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1):99-114.
  16. 김희정, 김윤범, 박외숙, 김규석, 차재훈. 알러지성 비염 병태 모델에 대한 방풍통성산의 항알러지 효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6;19(1):21-30.
  17. 손정민, 홍승욱. 방풍통성산이 아토피 피부염 을 유발한 동물모델의 피부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1):99-114.
  18. 안정미. 방풍통성산이 비만유도백서의 체중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의학. 1993;30:69-82.
  19. 신병철, 송용선. 방풍통성산이 백서의 비만증 및 비만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7;7(1):101-19.
  20. 이장천. 가미방풍통성산이 고지방식이 급여 흰쥐의 체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5;20(2):69-75.
  21. 황상준, 송태원, 오민석. 방풍통성산이 고지방 사료 식이로 유발된 비만생쥐에서 비만유전자 및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6;27(1):11-22.
  22. 안홍식, 이진용, 김덕곤. 방풍통성산가미방이 비만유도 백서와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6;20(1):219-39.
  23. 이남훈, 이경섭. 방풍통성산이 고혈압 고지혈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1;21:44-55.
  24. 하여태, 김동희. 가미방풍통성산의 항고혈압 작용.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5;14(2):55-70.
  25. 김수억. 방풍통성산이 가토 혈청중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경희약대논문집. 1977;5:63-8.
  26. 정승희, 이경태, 안홍식, 이진용, 최종원, 김덕곤. 비만유도 흰쥐에 대한 방풍통성산가미방의 항고지혈 효과 및 항산화 효과. 생약학회지. 2006;7(3):190-5.
  27. 이승은, 김혜정, 김윤범. 가미방풍통성산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1):94-103.
  28. Hohage H, Otte B, Westermann G, Witta J, et al. Elemental mercurial poisoning. South Med 1997;90:1033-6. https://doi.org/10.1097/00007611-199710000-00012
  29. 김인수, 김경욱. 승홍 투여가 백서 악하선 세포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02;28(6):413-20.
  30. Paul Johan H l, Jan Sverre Vamnes, Nils Roar Gjerdet, Rune Eide, Rolf Isrenn. Dental Amalgam and Selenium in Blood. Environmental Research. 2001;87(3):141-6. https://doi.org/10.1006/enrs.2001.4308
  31. 이승은, 김혜정, 김윤범. 가미방풍통성산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1):94-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