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Modern Surve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rvey Drawings in Early Modern Korea

대한제국기 근대적 측량의 도입과 측량도면의 성격

  • Lee, Geau-Chul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규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Received : 2010.10.15
  • Accepted : 2010.12.1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architecture and urbanism from traditional state to modern state,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surve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rvey drawing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大韓帝國), the early modern Korea. The governmental efforts of the Great Han Empire to introduce a modern survey system named Gwangmu Land survey (光武量田事業) ended in failur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露日戰爭, 1904-1905), the Residency-General (統監府) held the hegemony of Korean Peninsula. It reintroduced a modern survey system for the survey of land and buildings all over the country and enforced the Land and Buildings Certification System (土地家屋證明制度). Since then, the land and buildings survey was propagated rapidly and the modern system for land use was gradually organized. With the progress of modern survey, the survey bureau of Cabinet (內閣) and Department of Royal Household (宮內府) created survey drawings that had some characteristics of colonialism. Takjibu (度支部) produced cadastral maps of major cities, with which the modern land system was developed. In addition, the Royal Property Bureau (帝室財産整理局) produced survey drawings of land and buildings owned by the Royal Household which were finally converted into modern fac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皇城新聞'
  2. '海岸波除石垣及埋立地幷埠頭位置地圖', 1882
  3. '韓國測量技術者養成一件', 1905
  4. '家屋證明原本', 漢城府, 1907
  5. '東闕圖形', 1907
  6. '北闕圖形', 1907
  7. '北闕後苑圖形', 1907
  8. '家屋圖本', 帝室財産整理局, 1908
  9. '實測圖', 帝室財産整理局, 1908
  10. '漢城府地籍圖', 1908
  11. '職員錄', 內閣 記錄課, 1908
  12. '職員錄', 內閣 記錄課, 1909
  13. '土地家屋典當證明原本', 漢城府, 1910
  14. '土地家屋證明原本', 京城府, 1910
  15. '韓國財政施設綱要', 度支部, 1910
  16. '臨時財産整理局事務要綱', 度支部, 1911
  17. '京城府 地籍原圖', 1912
  18. 송병기 외 편, '韓末近代法令資料集' I-VIII, 국회도서관, 1970-1972
  19. '大韓帝國官員履歷書', 국사편찬위원회(영인본), 1972
  20. 박병호, '韓國法制史考-근세의 법과 사회-', 법문사, 1974
  21. 이진호, '대한제국 지적 및 측량사', 토지, 1989
  22. 尹仁石, '韓国における近代建築の受容及び發展過程に関する硏究', 동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23. 박익수, '조선시대 영건의궤의 건축도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24. 정태용, '한국 건축에 나타난 근대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25. 최원규, '한말 일제초기 토지조사와 토지법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26. 日外アソシエ-ツ編, '日本人名よみかた辭典', 1995
  27. 김근배, '일제시기 조선인 과학기술인력의 성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8. 우대성, '대한제국의 건축조직과 활동에 관한 연구 : 궁내부 영선사와 근대건축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9. 이무용 역, King, A. D., '도시문화와 세계체제', 1999
  30. 이진호, '한국지적사', 바른길, 1999
  31. 김용섭, '한국중세농업사연구', 지식산업사, 2000
  32. 정근식 편역, '개역판 관습조사보고서', 한국법제사연구원, 2000
  33. '경복궁: 광화문 및 기타권역 복원정비 계획 보고서', 문화재청, 2002
  34. 김정신, '개화기 건축', '한국건축사연구1 : 분야와 시대', 발언, 2003
  35. 지종덕, '일필지측량', 기문당, 2005
  36. 이규철, '대한제국기 한성부 제실유 가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7. '북궐도형',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38. '근대건축도면집-도면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9
  39. '근대건축도면집-해설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9
  40. 김희상 역, Short, J. S., '지도, 살아있는 세상의 발견', 작가정신, 2009
  41. 우동선 외, '궁궐의 눈물, 백년의 침묵', 효형출판, 2009
  42. 이규철, 전봉희, '개화기 근대적 도량형의 도입과 척도 단위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5권 제11호, 2009
  43. 정정남, '장용영의 한성부내 입지와 영사의 건축적 특성', '장서각' 21, 2009
  44. 이규철,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공간의 재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5. 전봉희.서영희.이규철, '규장각 소장 근대시기 건축도면의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0(발간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