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통성산(加味通聖散)이 자발성 고혈압 흰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mitongseong-san(GTS)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HR)

  • 최은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임대웅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태산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가영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천혜선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전상윤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홍석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Choi, Eun-Hee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Lim, Dae-Woo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Jung, Tae-Sa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An, Ga-Yo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Chun, Hea-Su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Jeon, Sang-Yu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Hong, Seok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발행 : 2010.09.30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exa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itongseong-san(GTS) extract on spontaneous hypertension. Methods : After administering GTS extract to SHR for 4 weeks, we measured anti-oxygen effects, weight of body, heart and kidney, blood pressure, heart rate, aldosterone, catecholamine, electrolyte, uric acid, and BUN. Results : 1. GTS increased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SOD) similar activit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2. GTS significantly decreased heart weigh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3. GTS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SHR. 4. GTS significantly decreased aldosterone. 5. GTS significantly decreased norepinephrine and epinephrine. 6. GTS significantly decreased $K^+$. 7. GTS significantly decreased BU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TS may be usefully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Chobanian A, Bakris G, Black H, et al., and th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Coordinating Committe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2003;42(6):1206-52. https://doi.org/10.1161/01.HYP.0000107251.49515.c2
  2.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 p. 154-9.
  3. 김지웅, 김영균, 권정남, 박지은. 고혈압 원인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5):739-45.
  4. 한덕희, 오영선, 설인찬, 김윤식. 肝陽上亢方이 高血壓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3):663-9.
  5. 송병용, 홍석, 김동희, 전상윤. 加味天麻鉤藤飮이 고혈압 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생리학회. 2007;21(2):504-10.
  6. 이영헌, 전상윤, 홍석, 조국령, 김남욱, 정종안, 강성인. 加味順氣活血湯이 DOCA-salt로 유발된 高血壓흰 쥐에 미치는 작용기전. 대한동의생리학회. 2008;22(1):162-70.
  7. 유종삼, 김동희, 박종오, 남궁욱, 홍석. 加味豨簽湯이 高血壓및 腦損傷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3;24(3):72-83.
  8. 劉完素, 宣明方論券十一, 文淵閣書㾝全書, 中醫學大系. 서울: 麗江出版社; 1988, p. 768.
  9.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永林社; 2004, p. 163-5, 185-7, 235-6, 285-7, 324-5, 485, 647-8.
  10. 금호철, 박주영, 안덕균. 發散風熱藥의 항고혈압 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999;14(1):141-7.
  11. 박규하, 함인혜, 최호영. 玄參의 유전자 분석 및 자발성 고혈압흰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008;23(2):213-23.
  12. 신대철, 김영균, 한종현, 문구, 김재섭. 生脈散이 혈압 및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1997;18(2):167-76.
  13. 명성하, 김연섭. 大黃의 항산화와 신경세포손상 보호효능에 대한 연구. 대한동의생리학회. 2005;19(3):647-55.
  14. 이양숙, 장상민, 김남우. 白芷의 항산화성 및 생리기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36(1):20-6.
  15. 이은희, 노미애, 차배천. 鷄血藤의 항산화 활성. 한국생약학회. 2005;36(1):50-5.
  16. 김호철. 안덕균, 이상인. 生豨薟과 主蒸豨薟추출물이 자발성 고혈압 흰쥐의 항고혈압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998;13(1):53-8.
  17. 김종원, 조현경, 유호룡, 설인찬, 김윤식. 고cholesterol식이 자발성 고혈압 白鼠에서의 加味防風通聖散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3):617-28.
  18. E. Braunwald 외. 대한내과학회 해리슨내과 편집위원회 편. HARRISON'S 내과학 제 1권. 서울: 도서출판 MIP; 2003, p. 215, 443-7, 1456
  19. 통계청 인구동향과. 정책해설자료. 2008 사망원인 통계 결과. 통계청. 2008.
  20. 오병희. 고혈압 치료의 최근 동향. 녹십자의보. 2005;33(6):370.
  21. Bartel, s., Hoch, B., Vetter, D., Krause, E.G. Expression of human angiotensinogen-renin in rat: effects on transcription and heart function. Hypertension. 2002;39:219-23. https://doi.org/10.1161/hy0202.103275
  22. Tsuda, K., Tsuda, S., Nishio, L., Masuyama, Y. Role of dihydropyridine-sensitive calcium channels in the regulation of noreineprhrine release in hypertension. J Cardiovasc Pharmacol. Suppl 1. 2001;S27-31.
  23. Mirkovic, S., Seymour, A.M., Fenning, A., Strachan, A., Margolin, S.B., Taylor, S.M., Brown, L. Attenuation of cardiac fibrosis by prifenidone and amiloride in DOCA-salt hypertensive rats. Br J Pharmacol. 2002;135(4):961-8. https://doi.org/10.1038/sj.bjp.0704539
  24. 김종규. 생리학. 서울: 종문각; 1998, p. 46. 300-1.
  25. Stuart Ira Fox. 생리학. 서울: 라이프 사이언스; 2004, p. 305, 405.
  26. 성호경, 김기환. 생리학. 서울: 의학문화사; 1996, p. 374-6.
  27. 한의과대학 방제학 교수 共編著. 方劑學. 서울: 永林社; 2003, p. 263-5.
  28. 김경선, 전홍렬, 전상윤, 홍석, 강화정, 김종석. 防風通聖散이 白鼠의 腦血流力學에 미치는 기전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2;23(1):91-8.
  29. 안정미, 김서수, 신현대. 防風通聖散이 肥滿誘導白鼠의 체중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의학. 1993;9(1):69-82.
  30. 황상준, 송태원, 오민석. 防風通聖散이 高脂肪飼料食餌로 誘發된 肥滿생쥐에서 肥滿遺傳子 및 關聯因子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2006;27(1):11-22.
  31. 강화정. 중풍 초기 환자에 대한 防風通聖散의 임상적 연구. 혜화의학. 1995;4(1):76-94.
  32. 류은경. 최은미. 비만환자에 대한 防風通聖散의 치료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0;1(1):57-62.
  33. Lee, S.O., Kim, M.J., Kim, D.K. and Choi, H.J.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Korean J. Soc. Food Sci. Nutr. 2005;34:139-47. https://doi.org/10.3746/jkfn.2005.34.2.139
  34. Dhawan, V., Jain, S. Effect of garlic supplementation on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s and lipid peroxidation in patients of essential hypertension. Mol Cell Biochem. 2004;266(1-2):109-15. https://doi.org/10.1023/B:MCBI.0000049146.89059.53
  3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181:1199-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36. 이윤미, 이소은, 이재문, 김태영, 최승욱. 운동강도에 따른 MDA와 SOD의 변화. 운동영양학회지. 2008;12(2):83-8.
  37. Williams GH.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New Engl. J. Med. 1988;319:1517-25. https://doi.org/10.1056/NEJM198812083192305
  38. 이귀녕, 이종순. 임상병리파일. 서울: 의학문화사; 1996, p. 82-8 .92-6, 300-5, 312-9, 425-49.
  39. 윤진숙, 박정아. 고혈압인에서 renin 활성도, 호르몬 수준 그리고 나트륨과 칼슘 섭취습관과의 관련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998;2:97.
  40. Blaustein, M.P. Sodium ions, calcium ions, blood pressure regulation, and hypertension: a reassessment and a hypothesis. Am J Physiol. 1977;232(5): C165-73. https://doi.org/10.1152/ajpcell.1977.232.5.C165
  41. Juhaszova, M., Blaustein, M.P. Distinct distribution of different $Na^{+}$ pump alpha subunit isoforms in plasmlemma. Physiological implications. Ann N. Y Acad Sci. 1997;834:524-36. https://doi.org/10.1111/j.1749-6632.1997.tb52310.x
  42. 大韓病理學會. 病理學. 서울: 고문사; 1995, p. 112-22.
  43. 진호준, 나기영, 정해일, 김연수, 김성권, 채동환. 혈중 요산 농도가 IgA 신병증의 진행에 미치는 연구. 대한신장학회지. 2007;26:17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