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Jajun-maum-dom-movement program on the attention and hyper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자전 동작이 중학생의 주의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Kim, Se-Won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Jung, Young-Su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Chu, Key-One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Geun-Woo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Seung-Hyeon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o, Byung-Soo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김세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신경정신과교실) ;
  • 정영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신경정신과교실) ;
  • 주기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신경정신과교실) ;
  • 김근우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신경정신과교실) ;
  • 김승현 (동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 구병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신경정신과교실)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06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ajun-maum-dom-movement program on the attention and hyper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Jajun-maum-dom-movement program was applied to 14 middle school students for 8 weeks,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decrease of hyperactivity, these tests were used - ADHD Diagnostic System(hereinafter ADS), Parent's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hereinafter ACRS), Teacher's Korean ADHD Rating Scale(hereinafter K-ARS). For each variable in the 3 test methods,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program were measured and then, the results were assessed by paired t-test, Interrelations between the resulted values of 10 variables were analyzed in these three groups: scores before program, scores after program, and change in scores before and after program, Among 10 variables, for variab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y t-test, it was assessed by ANCOVA whether change in scores before and after program is affected by the grade and gender. Results: As for the changed score between before-the-program and after-the-program, in the ADS te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ommission error" which is one of the indices showing the degree of hyperactivity, and "sensitivity(d')" which is one of the indices showing atten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ACRS and K -ARSC total), Among the correlations of the 4 variables, "ACRS" and "K-ARSC total) ", which show the comprecessive criteria,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of significance in before-the-program, after-the-program and the changed score between before-the-program and after-the-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pecific correlations among sub-variables about attention or hyperactivity, and in all of 4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egree of change according to grade or gender. Conclusions : As the results of assessment by ADHD Diagnostic System, Parent's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 Teacher's Korean ADHD Rating Scale to study the effects of Jajun-maum-dom-movement program on attention and hyperactivity, it is known that the program is helpful for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decrease of hyperactivity for the participated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신혜숙.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김정희. 기체험활동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이상희. 요가수행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DH).중학생의 공격성.자자존중감 및 주의 집중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미국정신의학회.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 서울: 하나의학사. 1995:112-121.
  5. Froehlich. T. E.,Lanphear. B. P., Epstein. J. N., Barbaresi. W. J., Katusic. S. K., & Kahn. R. S. Prevalence,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 National Sample of US Children. Archives Pediatrics & Adolscent Medicine. 2007;161(9):864-7.
  6. 김경은. Rhythmic Group Activ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가 ADHD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5.
  7. 김하정.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간의 평정 일치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8. 장규태.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에대한 한의학적 접근.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2):6-9.
  9. 이승기. 소아정신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2):35-42.
  10. 김근우. 소아신경정신 질환의 한.양방적 접근 방법론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2):1-11.
  11. 박난숙, 오경자. Methylphenidate 치료가 ADHD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2;11(1):235-48.
  12. 이주영. 내재화 문제를 지닌 ADHD 아동의 집단 심리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3. 양민옥. ADHD 아동에 대한 통합치료와 약물치료 간의 효과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4. 김잔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명상 포함 집단 상담프로그램의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15. 김종희. 5분 명상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6. 박은주. 요가수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이재진. 선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8. 신정미. 수식관 명상이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9. 황선정. 수식관 명상이 중학생의 충동성, 불안,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8.
  20. 변미혜. 춤명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불안, 충동성,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4.
  21. 이화순. 히타요가수련이 행동장애 학생의 부적응행동감소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5.
  22. 곽정자. 16주간의 자전춤 참여가 중년비만고혈압여성의 관상동맥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8.
  23. Jun-ja-Kwak, Won-Il-Park, Hyewon Shin, Hyun Min Choi, Hosung Nho. Effect Of 16-wk Jajun Dancing Program And Circuit Exercising Training In Improving Physical Fitness,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Menopausal Women.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9;41(5):272-3.
  24. 정영철, 이종범, 박형배, 정상덕, 성형모, 사공정규. 추후 참고 ADHD 아동의 연령에 따른 특성비교. 생물치료정신의학. 2001;7(1):137-46.
  25. 홍강의, 신민섭, 조성준. 주의력장애 진단 시스템(ADS) 사용설명서. 서울: (주)아이큐빅. 1999:62.
  26. 신민섭, 조성준, 전선영, 홍강의. 전산화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000;11(1):91-9.
  27. 오경자, 이혜련. ADHD 평가 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정 척도 연구, 1989년도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서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89.
  28. 오경자, 이혜련.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증 평가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 척도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89;8(1):135-42.
  29. 김영신, 소유경, 노주선, 최낙경, 김세주, 고윤주. 한국어판 부모 교사용 ADHD 평가척도(K-ARS) 의 규준연구. 신경정신의학. 2003;42(3):352-9.
  30. 소유경, 노주선, 김영신, 고선규, 고윤주. 한국어판 부모, 교사 ADHD 평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2002;41(2):283-9.
  31. 정경미, 오경자. 과제유형과 피이드백(feedback)이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주의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1;11(1):217-30.
  32. Anastopulos & Shaffe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problems: a clinician's guide. New York : Guilford. 2002.
  33. 홍주연. 모래상자 놀이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4.
  34. 이상복, 이상훈. 정서.행동장애아 치료와 교육. 경북: 대구대학교출판부. 1998:147-65.
  35. 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597-605.
  36. Barkley R. A. Attention Defict Hyperactivity Disorder :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0.
  37. 안동현, 김세실, 한은선. 주의력 결핍 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훈련. 서울: 학지사. 2004:63-8.
  38. 야마모토 요이치. 1994. 불교와 자연과학. 서울: 전파과학사. 1994:53.
  39. Conners. A teacher rating scale for use in drug studies. Journal American Academic Child Psychiatry. 1969;16:353-411.
  40. Goyette, C, H., Conners, C. K., & Ulrich, R. F. No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978;6:221-36. https://doi.org/10.1007/BF00919127
  41. 이명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부주의와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 중재 집단 프로그램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42. Dupual. G.J.. Parents and teacher rating of ADHD symptoms: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91;20(3):245-53.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003_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