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5~2007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의 가구 교통비 지출구조를 분석함과 동시에 교통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교통비 지출에 의한 소득분배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비 지출구조 및 소득효과 분석에 있어 경제학적 방법론의 적용과 탄력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분석결과, 가구 교통비 지출 부담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고, 공공교통비보다는 개인교통비의 증가가 도시 근로자들의 교통비 지출액 증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경제 사회 및 통행특성 등 가구 특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공공교통비, 개인교통비, 대중교통비용, 자가용 승용차 비용 등 4개의 개별 교통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교통비 지출은 소득 양극화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공공교통비보다는 개인교통비 지출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xpenditure structures and impact factors of household's transportation cost in order to provide policy-maker with quantitative and economic information for reducing household's transportation costs, using 1995-2007 household survey dat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various economic analysis, including econometric regression analysis and income re-distributional effects. The four models were separately estimated with dependent variable (personal and public costs, public transit and private car costs) and independent variables (family, employ, age, education, cars, household income, region dummy variable). In addition, We analyzes impacts of transport policy instruments on the transportation expenditure. These instruments include changes of oil price and public transit fare, reform of public transport system, and extension of subway facilities. Finally, income re-distributional effects before and after transportation expenditure, using Pechman-Okner (PO) index and Wolfson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