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사진을 이용한 산불 피해 조사 방안

A Plan for Estimation of Damaged Area from Forest Fire Using Digital Photographs

  • 정수 (안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0.10.17
  • 심사 : 2010.11.22
  • 발행 : 2010.12.30

초록

우리나라는 국토에서 산림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산불은 방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취급된다. 산불 피해 면적 산정은 향후 복원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예산 수립이나 물량 산출에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정확하게 산정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산불이 발생되면 GPS를 이용하여 피해 면적을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산불 피해 면적을 산정하는 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산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불 담당 기관인 산림청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여 충분한 수의 산림 헬리콥터를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산불 피해가 발생한 후에 산림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피해지역을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중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스냅 촬영한 산불 피해 지역 사진을 이용하여 그 피해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처리 방법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적합한 방안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에 디지털 사진을 이용한 산불 피해 조사 시스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mountain area covers a large proportion of entire country, the forest fire have been an important matter in disaster prevention in Korea. Estimation of damaged area after forest fire would be very important because it would be the basis to make budget or to calculate quantities in the restoration plan for the damaged area. In Korea, the damaged area from forest fire is generally surveyed using GPS. In practice, however, the estimation of damaged area from forest fire have been inaccurate in lots of case due to some problems. Korea Forest Service which is taking charge of prevention of forest fire in Korea is managing a large number of helicopters for forest service on the whole country. So, it would be possible to take snapshots of the damaged area after forest fire from the helicopter using a digital camera.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uitable method to estimate damaged area after forest fire using snapshots which are taken in the air using a digital camera. So, several approaches were implemented and compared. In futur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a development of a system for investigation of damages from forest fire using digital photograph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완, 2009, "RADARSAT-1 SAR 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지역 관측",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원격탐사학회, pp.309-313.
  2. 방기인, 정수, 김경옥, 조우석, 2002, "지상기준점 추가에 의한 IKONOS RPC 갱신", 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제10권, 제4호, pp.41-50.
  3. 산림청 웹사이트, 2010, 통계자료방, http://www.forest. go.kr.
  4. 산림청 산불정보시스템, 2010, 산불정보시스템, http://sanfire.forest.go.kr.
  5. 산림청, 2010, 2010년 산불방지 종합대책, 산림청, p.2.
  6. 서지훈, 정수, 김경옥, 2002,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TIN기반 기하보정방법에 관한 연구", 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제10권 제3호, pp.115-122.
  7. 정동원, 2009.10.23, "산림청, 산불 관련 제도 개선", 안동 MBC 뉴스
  8. 정동원, 2009.4.23, "안동 금소리 산불 면적은 66 ha", 안동MBC 뉴스
  9. 양인태, 유영걸, 최승필, 김응남, 1999, "GSIS에 의한 산불 피해 지점의 공간 분포 분석", 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제7권, 제2호, pp.93-100.
  10. 오남학, 2009, MODIS 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 면적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1. 정 수, 2005, "직접선형변환 매개변수로부터 물리적 사진기 매개변수의 산정", 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제13권, 제2호, pp.39-43.
  12. 최승필, 김동희, 이석군, 2006, "위성영상 자료에서 요인분석에 의한 산불 피해 지역 추출", 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제14권, 제1호, pp.13-19.
  13. Brass, J.A., V.G. Ambrosia, J.D. Rieker Jr., and A.C. Roberts, 2001. Forest fire fighting from real-time airborne infrared remote sensing, available from URL: http://www.airplatforms.com/media/pdf/Canberra Firefighting.pdf
  14. Daum, 2010, Daum 지도, http://local.daum.net/map/index.jsp
  15. El-Sheimy, N. and B. Wright,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Prototype Mobile Mapping System for Real-time Forest Fire Hot Spot Detection", PE&RS, ASPRS, Vol 71, No. 4, pp.461-470.
  16. Google, 2010, Google earth, http://www.google.com/earth/index.html
  17. Li, Z., Y.J. Kaufman, C. Ichoku, R. Fraser, A. Trishchenko, L. Giglio, J. Jin, and X. Yu, 2000. A Review of AVHRR-based Active Fire Detection Algorithms: Principles, Limitations, and Recommen- dations, available at URL: http://www.fao.org/gtos/gofc-gold/docs/fire_ov.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