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환승센터 인근 보행자도로의 시간대별 보행특성을 고려한 서비스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alkway Level of service reckon with Pedestrian Characteristic on Complex-transit center

  • 투고 : 2010.03.09
  • 심사 : 2010.08.28
  • 발행 : 2010.10.31

초록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은 보행교통류율, 보행속도, 보행밀도의 보행특성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도로용량편람"에서 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서비스수준은 첨두시 출퇴근통행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다양한 통행목적과 보다 쾌적한 보행환경을 고려한 서비스수준의 재정립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간대별 보행자의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보행자도로의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행자의 통행목적이 다양한 복합환승센터 인근도로를 대상으로 첨두시 및 비첨두시의 시간대별 보행속도 및 교통류율을 조사하고, 그룹간 통행특성이 다름을 통계적으로 검증하도록 한다. 이를 기반으로 보행밀도를 추정하는 모 형식을 구축하여 서비스수준 E에 해당하는 용량(67.3인/분/m)을 산출하였고, 기존 방법론에 따라 HCM의 서비스수준 단계별 범위를 적용하여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을 수립하며, 향후 보행자도로의 설계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한다.

The walkway level of service (LOS) is conceptualized using pedestrian flow rate, speed, and density according to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KHCM). However, as it is based on the data of commuters at peak hours, it needs to be reevaluated considering various trip purposes and a pleasant pedestrian environment. Thus, the authors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pedestrians during the peak hour and those during the non-peak hour. Then they were verified statistically for the walkway evaluation criteria.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pedestrian speed and flow in a complex transit center walkway with diverse trip purposes by peak and non-peak hour. Then the authors statistically ver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 model was built for estimating pedestrian density by speed and flow; it was used to calculate the walkway capacity (67.3p/m/m) corresponding to LOS E. The authors established new criteria for LOS, applying the LOS from the HCM. These standards can then be used as the design standards for pedestrian walkways.

키워드

참고문헌

  1. 임정실(2002), 보행자 도로의 용량산정.
  2. 김경환(1999), 국내 보행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
  3. 김정현(2002),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4. 국토해양부(2005), 도로용량편람.
  5. Fruin(1971), Pedestrian Planing and Design, Metropolitan Association of Urban Designers and Environmental Planners. INC.
  6.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00), Highway Capacity Manual, Special Report.
  7.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8.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2009), Traffic Engineering Handbook.
  9. Land Transport New Zealand(2007),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10.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통계학과(2009), 제4차 개정판 현대통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