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전용차로 설치에 따른 기대효과 추정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Estimating Potential Impact of Bike Lane Implementati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City)

  • 투고 : 2010.01.21
  • 심사 : 2010.07.03
  • 발행 : 2010.08.31

초록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지구가 위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은 시대의 흐름으로, 교통수단 중 자전거는 가장 빨리 이 목표를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이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전거 인프라가 부족한 현 시점에서 자전거 전용도로를 새로이 건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공간확보가 어려우므로 도로다이어트가도시 내에서 자전거전용차로를 확보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그러나 도로다이어트에 대한 효과분석이 이루어진 사례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다이어트에 의한 자전거전용차로 설치 시 자전거수단분담률 변화에 따른 각 수단의 전환율을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편익을 추정하였다. 현재 자전거의 수단전환 모형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자전거로의 전환량 목표를 설정한 후 다른 수단의 전환량을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사례지역으로 서울을 선정하였으며 SECO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통행시간 절감편익 이외에 건강증진, 환경오염, 에너지절감 편익 등을 고려하였다는 것이 타 연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볼 수 있으며, 도로다이어트의 시행으로 수단들의 총 통행시간이 증가하지만 자전거의 분담률이 5% 정도가 되면 상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담률이 2% 일 때 통행시간 절감편익은 (-)이지만 전체 편익은 (+)이며 분담률이 5%를 넘어설 때엔 통행시간 절감편익도 (+)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Environmental issues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and energy crises have become global issues, and cycling has gained greater popularity for sustainable transportation. Though many cities are trying to build bicycle roads, it is not easy to implement bicycle roads because there is little available space for bicycle facilities. Therefore, road diets have become more popular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intensive research to date of their impa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oad diets and construction of bike lanes. Every benefit, including energy benefit, environmental benefit, and health benefit is considered, while only time savings benefit has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e benefit analysi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a case study shows that road diets have a (1) time saving benefit for only five percent of the mode share and (2) enough total benefit even if bicycle mode share is less than two percent.

키워드

참고문헌

  1. 환경부(2007), "환경친화적 자전거문화 정착 연구".
  2. 황기연.김익기.엄진기(1999), "교통수요관리 방안의 단기적 효과 분석모형의 구축",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지, pp.173-185.
  3. 황기연.이우철(2000), "대중교통 환승요금 적정 할인수준 추정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27∼37.
  4. 황기연.신상영.조용학.손기민(2008), "TOD형 개발 촉진을 위한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대한토목학회지, 제28권, 대한토목학회, pp.1-10.
  5. 한국교통연구원(2008), "녹색교통이 국민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분석", pp.119-124.
  6. 김형철.이재영(1998),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한 위치별 자전거도로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경원대 환경계획연구소 논문집.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2006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안)".
  8. 서울특별시(2008), "자전거이용시설 정비 제3차 5개년계획"
  9. 서울특별시 교통국(2007), "2006년도 서울시 차량통행속도".
  10. 한국개발연구원(2004),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연구(제4판)".
  11. De Ortuzar, J.D. et al., "Estimating Demand for A Cycle-way Network",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4, pp.353-373.
  12. Elvik, R.(2000), "Which are the relevant costs and benefits of road safety measures designed for pedestrians and cyclis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2, pp.37-45. https://doi.org/10.1016/S0001-4575(99)00046-9
  13. Komanoff, C.(1994), "Environmental Benefits of Bicycling and Walking in the United States", TRR 1405, pp.7-12.
  14. Korve, M.J. et al.(2002), "Benefit-cost Analysis of Added Bicycle Phase At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Journal of Transport Engineering 128(1), pp.40-48.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2002)128:1(40)
  15. Department for Transport(2009), "Guidance on the Appraisal of Walking and Cycling Schemes: TAG Unit 3.14.1", Transport Analysis Guidance(TAG).
  16. Frank(2004), "Obesity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Design, Physical Activity, and Time Spent in Cars".
  17. Kevin J. Krizek(2009), "Quantify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cycling: evaluation & implications of US cycling strategies", The 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Cyclling towards A Commuter- friendly City", pp.287-314.
  18. McCann․Ewing(2003), "Measuring the Health Effects of Sprawl".
  19. Sælenesminde, K.(2004), "Cost-benefit Analyses of Walking and Cycling Track Taking into Account Insecurity, Health Effects and External Costs Motorized Traffic",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8, pp.593-606. https://doi.org/10.1016/j.trb.2003.05.001
  20. Transport & Health Study Group(2000), "Carrying out A Health Impact Assessment of A Transport Policy Guidance from Transport & Health Study Group", Faculty of Public Health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