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 Satisfaction Evaluation of Each Travel Section in Seoul's Subway Junctions

서울 도시철도 환승역의 통행구간별 서비스만족도 평가

  • 오미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장욱 (현대해상화재보험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교통안전팀 전략지원실) ;
  • 박동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손의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0.04.19
  • Accepted : 2010.07.0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Unlike the existing subway service evaluation system, service evaluation indices by travel section in 26 subway stations were developed and appraised. Travel sections were classified into (1) subway station approach, (2) from entrance to platform, (3) platform, and (4) passageway for transfer, after which weights by travel section and by service evaluation index were estimate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by transportation experts. Subway service satisfaction data was gathered from 2000 passengers at the 26 subway s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ights of (1) subway station approach and (4) passageway for transfer were highest and the weights by travel sections were different if kinds of services were the same. Comfort on the platform, crowdedness in the passageway for transfer, and transfer information from entrance to platform were highest in order in terms of satisfaction. Meanwhile, the results of the IPA showed that services in the passageway for transfer were high in terms of weights but were relatively low in terms of satisfaction. Therefore the services in passages for transfer needed to be reformed preferentially.

기존 대중교통 서비스평가 시스템이 이용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도시철도 환승역을 대상으로 통행구간별 서비스 지표를 선정하고 평가하였다. 통행구간은 (1) 역사접근, (2) 역입구에서 승강장, (3) 승강장, (4) 환승통로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 서비스 평가지표를 선정한 후, 교통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계층화기법(AHP)을 통해 통행구간 및 서비스 평가지표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26개 환승역을 중심으로 2000명의 이용자에게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역사접근과 환승통로가 가중치 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서비스이더라도 통행구간에 따라 서비스의 가중치는 다르게 나타났다. 만족도는 승강장에서의 안락도, 환승통로에서의 혼잡도, 역입구-승강장의 타수단의 환승정보 제공정도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IPA분석결과, 환승통로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가 가중치는 상대적으로 높으나 만족도는 낮아서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8), "2008년 대중교통 운영자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 평가".
  2. 김철순.김시곤.김정환(2008), "고속철도역 환승시설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4D호, 대한토목학회, pp.533-538.
  3. 서울시(2005), "2004 지하철 서비스 품질평가(소비자부문)조사 보고서".
  4. 윤상훈.김태호.노정현.원제무(2007), "지하철 서비스 질 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서울시 지하철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2권 제6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181-193.
  5. Martilla J. A. and J. C. James(1977),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 pp.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6. Satty T. L.(1980), "The Analytic Hiera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7. TRR(2000), "Highway Capacity manual 200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 TRB(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second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