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Model and Analysis of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Appraisers for Scenic Roads

경관도로의 평가모형 구축 및 중요도 인식 분석

  • Received : 2009.10.20
  • Accepted : 2010.07.2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n evaluation model and to select evaluation factors for designing scenic roads and designating existing roads as scenic roads. The definition of a "scenic road" contains the purpose not just of travel or access but visiting itself. The value of a scenic road can be enhanced through the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road or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facilities. In order to promote objective scenic road selection and evaluation, the authors u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hich is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The weighting value was 0.382 for the value of landscape along the road, 0.154 for the value of landscape in the road, 0.269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and 0.196 for the management of the road.

국민의 소득 수준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관광 및 레져 활동이 늘어나면서, 단순한 이동과 접근 기능 외에도 안전하고 쾌적하면서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도로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도로를 경관도로(scenic road)라고 하는데 경관도로는 '단순히 이동과 접근을 위한 기능이 아닌, 도로 자체가 통행의 목적이 되는 도로로서 도로 주변의 환경을 보전하거나 인공적인 시설의 설치를 통해 도로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도로'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관도로를 계획하거나 또는 기존의 도로를 경관도로로 지정하기 위한 평가 항목의 선정 및 평가모형의 구축에 있다. 합리적인 경관도로 선정과 평가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기준 의사결정방법의 하나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도로주변의 경관적 가치 0.382, 도로내부의 경관적 가치는 0.154, 도로의 특성 0.269, 경관도로의 관리는 0.196의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전문가 집단별로 분류하면 도시분야 전문가 집단에서는 도로주변의 경관적 가치(0.507)를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교통분야 전문가 집단에서는 도로의 특성(0.434)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경관도로를 평가하는 심의위원의 구성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평가항목 별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지역별, 형태별, 규모별, 기능별로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는 경관과 도로의 유형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평가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응철(2007), "경관도로 등 신개념의 도로사업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9권 2호, 한국도로학회, pp.115-127.
  2. 송기한.홍상연.정성봉.전경수(2002), "다기준 평가항목간 중복도를 반영한 AHP 기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15-22.
  3. 이종학외 3(2004), "도로경관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도로학회, pp. 393-398.
  4. 이재영.임윤택(2006), "AHP를 이용한 도시내 도로사업 평가모형구축 및 중요도 인식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1권 2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227-236.
  5. 임성한외 2(2005), "관광부도로의 판별 및 교통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1호, pp.81-92.
  6. 정태일.오덕성(2003), "우리나라 경관관련 법.제도 및 계획 속에 나타난 경관유형과 제어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제10호, 대한건축학회, pp.111-120.
  7. 강원발전연구원(2006), "경관도로 정의 정립 및 도입 필요성 연구".
  8. 강원발전연구원(2008), "경관을 고려한 각종 개발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9. 경남발전연구원(2007), "Scenic byway 개발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10. 국토해양부(2008), "경관도로 정비사업 업무편람,"
  11. 과학기술부․건설교통부(2006), "수자원분야 다기준의사결정분석 지침서".
  12. 한국개발연구원(2001), "예비타당성 조사수행을 위한 다기준 분석방안 연구".
  13. Bates USA Midwest(2000), "Strategic Brand Analysis for National Scenic Byways".
  14. FHWA(1995), "National Scenic Byways Program", Federal Register, Vol.60, No.96.
  15. National Scenic Byways Online(2007), "National Scenic Byways Legislation".
  16. NSBP 홈페이지,http://www.bywaysonline.org
  17. 일본 풍경 가도 홈페이지, http://www.mlit.go.jp/road/sisaku/fukeikaid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