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유역의 토양유실량과 하구지형의 상관성 분석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RUSLE and Estuary in Nakdong River Watershed

  • 황창수 (국립해양조사원 측량과) ;
  • 김경탁 (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오치영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진청길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투고 : 2010.04.10
  • 심사 : 2010.05.07
  • 발행 : 2010.09.30

초록

다양한 공간정보와 GIS의 발달로 인해 자연현상의 해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1995~2005년 간 낙동강유역의 토양유실량 산출과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낙동강하구 지형변화 탐지" 연구에서 산출한 하구역 해안섬의 면적변화 산출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토양유실량 산정은 국내에서 주로사용되는 USLE의 수정된 형태인 Revised-USLE 모델을 이용하고, 토양유실량 산정시 해안섬의 면적과 비교를 위해 강우침식인자는 사용된 위성영상의 관측일로부터 1년 이전의 기간동안 전국 관측소에서 관측된 실측값을 이용하였다. 산출한 토양유실량과 해안섬 면적변화의 상관계수는 진우도 0.57, 신자도 0.7, 도요등 0.87로 낙동강의 주된 수로가 흐르는 도요등의 영향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와 인자별 특성파악을 통한 USLE 연구가 실제적으로 자연 현상을 파악함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various spatial information and GIS has led to the research on interpretation of natural phenomena and correlational studies.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round Nakdong River area during the period of 1955 to 2005 and the amount of area change in the islets at the estuary terrain calculated in the study "Change Detection at the Nakdong Estuary Delta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For the calculation of RUSLE, The 'Revised-USLE' model, a modified USLE model commonly used in Korea was used. For the rainfall erosion factor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area of islets, the actual observation data for one year before the observation of satellite image from all observatories across Korea was u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USLE and area change of islets was 0.57 for Jinwoo Islet; 0.7 for Sinja Islet; 0.87 for Doyodeung. Th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reat influence from Doyodeung where the main water way of Nakdong River ru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y using USLE for various fields and through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is useful to understand natural phenomenon in practi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방재연구소, 1998, 개발에 따른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1)
  2.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2007, 국내외 토양침식모형의 특성분석 연구, p.195.
  3.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양공학회", 해양공학회지, 2007, 제 19권 4호, pp.361-374.
  4. 농업과학기술원. 2005. 비점오염원 관리와 국토보전을 위한 전국토양침식위험성 평가
  5. 박경훈, 2003, GIS 및 RUSL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6, No. 4, pp.24-36.
  6. 박무중, 김양수, 2001, 개발지역에서의 토양발생규모와 모형의 적용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Vol. 34, No. 1, pp.3-17.
  7. 오정학, 정성관, 2005, 토지자원관리를 위한 낙동강 유역의 잠재적 토양유실량 산정, 한국통촌게획학회, 농촌계획, Vol. 11, No. 2, pp.9-19.
  8. 오치영, 박소영, 최철웅, 2010,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낙동강하구 지형변화탐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Vol. 18 ,No. 1, pp.21-29,
  9. 이환주, 김환기, 2001, GSIS 공간분석을 활용한 토양침식모형의 입력인자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Vol. 19, No. 1, pp.27-37.
  10. 이민부, 김남신, 강철성, 신근하, 최한성, 한욱, 2003, 북한 회령지역의 농경지 변화에 따른 토양침식 추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 9, No. 3, pp.373-384.
  11. 정영상, 권영기, 임형식, 하상건, 양재의, 1999, 강원도 경사지 토양 유실 예측용 신 USLE의 적용을 위한 강수 인자와 토양 침식성 인자의 검토, 한국토량비료학회,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 32, No. 1, pp.31-38.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0, http://krsc. kict.re.kr/
  13. Desmet, p.j, and G. Govers, 1996, A GIS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USLE LS Factor on Topographically Complex Landscape Unit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1, No. 5, pp.427-433.
  14. Dawen Yang, Shinjiro Kanae, Taikan Oki, Toshio Koike and Katumi Musiake. 2006. Global potential soil erosion with reference to land use and climate changes, Hydrological Processes 17, pp.2913-2928.
  15. Foster, G.R., and et al(1994)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Soil Erosion Research Methods, 2nd Edition, Soil and Water Conservation Society, pp.105-124.
  16. Quinn, P.F., K.J. Beven, p.Chevallier, and O. Planchon, 1991, The Prediction of Hillslope Flow Paths for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Digital Terrain Models, Hydrological Processes, Vol 5, pp.59-79. https://doi.org/10.1002/hyp.3360050106
  17. McCool, D.K., L.C. Brown, G.R. Foster, C.K. Mutchler and L.D. Meyer(1987) Revised Slope Steepness Factor for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rans,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No. 30, pp.1387-1396.
  18. McCool, D.K., G.R. Foster, C.K. Mutchier, and L.D. Meyer(1989) Revised Slope Length Factor for the Universal Slil Loss Equation, Trans.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No. 30(5), pp.1571-1576.
  19. Millward, A.A. and J.E. Mersey, 1999, Adapting the RUSLE to model soil erosion potential in a mountainous tropical watershed, CATENA, Vol. 38, No. 2, pp.109-129. https://doi.org/10.1016/S0341-8162(99)00067-3
  20. Wischmeier, W.H., and D.D. Smith(1965)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USDA Agr. Handbook 282.
  21. Van Remortel, R. D., M.E. Hamilton and R. J. Hickey. 2001. Estimating the LS factor for RUSLE through iterative slope length processing of digital elevatin data within ArcInfo Grid. Cartography 30(1):27-35. https://doi.org/10.1080/00690805.2001.9714133
  22. Saha, S. K. 1996. Integrated use of Remote Sensing and GIS for Soil Erosion Hazard Modeling - A Case Sutdy. http://www.gisdevel opment.net/aars/acrs/1996/ss/ss1005.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