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termining Control Points and Surveying Feature Points for Geo-Referencing of Terrestrial LiDAR Data in Urban Areas

도심지 지상 LiDAR 자료의 Geo-Referencing을 위한 기준점 선정 및 특징점 측량 방안 연구

  • 박효근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 ;
  • 한수희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 ;
  • 조형식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 ;
  • 김성훈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 ;
  • 손홍규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 ;
  • 허준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
  • Received : 2010.01.31
  • Accepted : 2210.02.25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In this research, an effective method for absolute positioning of feature points is proposed, which is applicable to geo-referencing of terrestrial LiDAR data scanned in dense urban areas. GPS positioning, common in absolute positioning, is apt to fail in the presence of signal disturbancein dense urban circumstances, while traditional surveying methods, including traversing and leveling, are generally more costly for wider areas. The idea is that reference points, marked on top of buildings, are surveyed by GPS positioning and then feature points are relatively positioned from the reference points. The present method, if laser scanning is accompanied, gets two advantages; one is that less feature points need to be surveyed because they can be substituredby reference points, and the other is that laser scanning can be more stably carried out. The present method was shown, from the experiments, to be cost-effective against traditional ones.

본 연구에서는, 건물이 밀집한 도심지를 대상으로 취득한 지상 LiDAR 자료의 geo-referencing을 위해 필요한 특정정의 절대좌표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도심지에서는 GPS 신호 수신의 문제점, 다각측량 및 수준측량을 통한 원거리 기준점 측량의 비용적 문제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에서 GPS 측량을 통해 기준점을 설치하고 특징점의 절대좌표를 취득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에서는 옥상에서의 지상 레이저 스캐닝이 가능할 경우 기준점 자체를 특징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특징점 선정 및 측량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안정적인 스캐닝도 보장받을 수 있다. 실제 대상지역에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식이 기존 방식에 비하여 충분히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감래, 안병구, 황보상원 (2008), 3차원 지적을 위한 건축물 취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한국지적학회, 제24권, 제1호, pp. 27-26
  2. 김형태, 편무욱, 박재선, 강민수 (2008), 건물 실내 공간 모델링을 위한 지상라이다 영상 정합 방법에 따른 정확도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대한원격탐사학회, 제24권, 제4호, pp. 333-340. https://doi.org/10.7780/kjrs.2008.24.4.333
  3. 김종화, 편무욱, 김상국, 황연수, 강남기 (2009), 지상 LiDAR 자료의 절토량 산정 실험,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7권, 제2호, pp. 11-17.
  4. 이인수, 강상구 (2006), 지상 라이다를 활용한 현황측량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 제14권, 제3호, pp. 79-86.
  5. 이재기, 정성혁, 이계동 (2006), 디지털사진측량 및 3D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한 토량환산계수의 산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4권, 제2호, pp. 227-234.
  6. 이홍민, 박효선, 이임평, 권윤한 (2007), 구조물의 변위 계측을 위한 지상 라이다의 정밀도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1호, pp. 3-10.
  7. Ahmed Mohamed, Benjamin Wilkinson (2009), Direct Georeferencing of Stationary LiDAR, RemoteSensing, Remotesens, pp. 1321-1337.
  8. H. Boulaasssal, T.Landes, P. Grussenmeyer, F. Tarsha-Kurdi (2007), Automatic Segmentation of Building Facades Using Terrestrial Laser Data, ISPRS Workshop on Laser Scanning 2007 and SilverLaser 2007, IAPRS Volume XXXVI, Part 3 / W52, pp. 65-70.
  9. Marco Scaioni (2005), Direct georeferencing of TLS in surveying of complex sites, Isprs, Remotesens, pp. 1321-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