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Fire Damage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s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재해 분석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 장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준규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
  • 김민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1.04
  • Accepted : 2010.02.09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Forest fire is one of the main factor disturbing the environment of forest, and it influences greatly the structure and function on forest. The process of vegetation recovery c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damage. It is required a lot of man powers and budgets to understand born severity and process of vegetation rehabilitation at the damaged area after large-fire. However, the analysis of born severity in the forest area using satellite imagery can acquire rapidly information and more objective results remotely in the large-fire area. In this study, the space sensors have been used to map area burned, assess characteristics of active fires. For classifying fire damaged area and analyzing severity of Cheongyang-Yesan fire in 2002, in this paper we use pre- and post-fire imagery from the Landsat TM and ETM+ to compute the evaluate large-scale patterns of burn severity, use the digital stock map to calculate the damaged condition about the forest fires damaged regions and use the NDVI to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revegetation.

산불은 산림의 주요 교란요소중의 하나로써 산림 구조와 기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산불피해강도에 따라 피해 후 식생회복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산불피해지의 피해강도와 식생회복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다.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의 피해량 분석은 신속한 정보는 물론 대규모 피해지의 객관적인 결과를 원격으로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청양 예산 지역의 산불발생 전 후 위성영상을 이용한 분류 기법을 통해 연구대상 지역의 산불피해 정보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불발생 전 후의 다 시기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영상 분류를 통해 산불피해 지역의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수치임상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피해지역 삼림의 수종,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별 피해량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으며 분류결과와 NDVI를 이용하여 식생회복을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철민, 이승호, 노대균 (2001),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 발생지역의 탐지, 대한원격탐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원격탐사학회, pp. 77-81.
  2. 배준희 (2003),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난온대지역의 식생분류기법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이강원 (2006), GSIS 다중자료를 이용한 재해탐지체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최철순, 최승필 (1997), 인공위성 TM 영상을 이용한 고성 산불 피해지역의 추적조사, 한국측지학회지, 한국측지학회, 제15권, 제2호, pp. 215-219
  5. Cocke, A. E. Fule, P. Z. Crouse, J. E. (2005), Comparison of burn severity assessments using Differenced Normalized Bum Ratio and groun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FIRE, Vol.14, No.2 pp. 189-198. https://doi.org/10.1071/WF04010
  6. Lentile, L. B. Smith, F. W. Shepperd, W. D. (2006), Influence of topography and forest structure on patterns of mixed severity fire in ponderosa pine forests of the South Dakota Black H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FIRE, Vol.15 No.4, pp. 23-27.
  7. Van Wagtendonk, J. W. (2004), Dr. Biswell'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rescribed Burning in California, General Technical Report PNW(U.S.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 pp. 11-16.
  8. http://glovis.usgs.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