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arel Purchase Behaviors and Image Preferences of Preteen Girls and Their Mothers: Considering Preteen Girls' BMI and Body Image

프리틴 여아의 비만도와 신체이미지에 따른 프리틴 여아와 어머니의 의복구매특성과 의복선호이미지

  • Moon, Hee-Ka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 Chai University)
  • 문희강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0.07.03
  • Accepted : 2010.09.11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teen girls and their mothers' apparel image preference and apparel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ver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plus size preteen girls' apparel choice by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preteens' physical characteristic and their apparel related variabl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by 190 preteen girls and 120 mothers. The influential power of preteens on apparel purchase decis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ir mothers, and their preferred apparel images were comfortable/neat, cute/girlish, and mature/chic. Comparing to preteen girls, their mothers preferred comfortable/neat and cute/girlish images to mature/chic apparel image. Their physical maturity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pparel image preference. Moreover, plus size preteen girls' interests in appearance and clothing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weight preteen girls, this implied potentiality in apparel market for plus size preteen.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조선명(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 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227-1238.
  2. 권유진, 유태순(2005). 프리틴 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역할 모델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3), 291-300.
  3. 김경아(2004). 만 12-14세 트윈세대 남학생의 의복 착용실태 및 맞음새 연구.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 8(5), 85-99.
  4. 김민정 (2008). 프리틴 소비성향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아날리아(2006). 프리틴 세대의 외모관리행동 영향요인 - 미디어관여, 신체만족, 자아존중감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1), 1538-1549.
  6. 김아날리아, 이수경, 고애란(2006). 남녀 프리틴 세대의 외모 관리행동 영향요인-미디어 관련, 신체만족,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1), 1538-1549.
  7. 김은경, 최혜선, 강여선(2002).트윈세대 아동복의 치수적함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5), 691-702.
  8. 김인숙, 석혜정, 방은영, 김유미, 성은주, 김덕하 외(2002). 아동복 치수 인지도와 맞음새 조사-학렬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2), 119-129.
  9. 김주희(2006). 아동복 선호실태 조사연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찬주, 김용주(2006). 투윈세대의 외모와 스타일에 대한 의식. 한국의류학회지, 30(6), 928-938.
  11. 박우미(1999).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의복스타일에 대한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비교. , 48, 25-36.
  12. 서울경제(2006. 11. 1). 패션업계"프리틴 잡아라". http://economy.hankooki.com/service/print/Print.php?po=economy.hankooki.com/lpa에서 2010년 6월 30일 인출.
  13. 송경자, 김재숙(1999). 신체이미지, 신체왜곡 및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7(5), 740-751.
  14. 어패럴뉴스(2010. 5. 31). 중가 프리틴 주니어 고공행진. http://www.appnews.co.kr/print.php?uid=36041&sbj에서 2010년 6월 30일 인출.
  15. 이수경(2003). 사춘기 여학생의 신체성장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기존중감, 의복태도 형성모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옥희, 홍병숙(1998). 청소년들의 상징적 의류제품 소비성향과 관련변수와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781-792.
  17. 이지연(2006). 프리틴 세대의 화장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진희, 전명숙(2006).트윈세대의 의복구매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835-847.
  19. 임혜원(2008). 프리틴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다른 구매행동.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정운선, 이혜상, 박응임(2003). 비만아동의 의생활, 식생활 및 심리적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1(1), 155-167.
  21. 조윤주, 이정란(1999). 비만아동의 의복설계를 위한 체형분류 및 특성연구(제1보)-유형별 특성 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4), 563-574.
  22. 한국경제(2007. 10. 11). 키즈마켓 이어'프리틴시장'뜬다. http://www.hankyung.com/news에서 2010년 6월 30일 인출.
  23. 한국섬유신문(2005. 7. 21). 활짝 핀 Kids Business. http://samsungdesign.net/include/news_print.asp?tablename=marketingStrategyNews&an=3689에서 2008년 7월 3일 인출.
  24. Brock, M. K., Ulrich, P. V., & Connell, L. J.(2009). Exploring the apparel needs preferences of tween girls and their moth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7, 1-17.
  25. Cook, D. T., & Kaiser, S. B.(2004).Betwixt and be tween. Journal of Consumer Culture, 4(2) 203-227. https://doi.org/10.1177/1469540504043682
  26. Creekmore, A. M.(1974). Clothing related to body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er self. Research Report, 239, Michigan: Technical Bulletin, Michigan State University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27. Daters, C. M.(1990). Importance of clothing and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 45-50.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308
  28. Foundation for child development(2008). http://www.fcd-us.org
  29. Francis, S. K.(1992). Effect of perceived clothing deprivi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 29-33.
  30. Frued, S.(1961). The ego and Id. London: Hogarth.
  31. Hulan, D.(2007). Mistaking brands for tween identity, The Mcmaster Journal of Communication, 4(1), 29-36.
  32. Lindstrom, M.(2004).Brand is no longer child's pla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1(3).175-182. https://doi.org/10.1108/07363760410534722
  33. Nunnally, J.(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Y: McGraw Hill.
  34. Philips, D.(1999). Tween BEAT: Targeting pre-teenage consumers. Entrepreneur, 27(9), 126-133.
  35. Russel, R., & Tyler, M.(2004). Branding and bricolage: Gender consumption and transition. Childhood, 12(2), 221-237.
  36. Shim, S., Kotsiopulos, A., & Knoll, D. S.(1991). Body cathexis, clothing attitude, and their relations to clothing and shopping behavior among 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35-44. https://doi.org/10.1177/0887302X9100900306
  37. Sontag, M. S., & Schlater, J. D.(1982).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Evolution of concep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35-44.
  38. Thompson, J. K.(1990).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Elmsford, NY: Pergamon Press.

Cited by

  1. Effect of Apparel Conformity and Product Evaluations of Tween Mothers on Brand Evaluations : Focusing on the global sport fashion brands’ kids lines vol.68, pp.5,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5.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