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orking Mothers' Attitudes Toward Maternal Employment and Beliefs Regarding Child Care Quality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alities and Hours of Child Care Centers

보육시설 유형과 이용시간에 따른 취업모의 취업에 대한 태도 및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 Kim, Hye-Gum (Department of Child Care Education, DongNam Health College)
  • 김혜금 (동남보건대학 보육학과)
  • Received : 2010.05.25
  • Accepted : 2010.07.14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orking mothers' attitudes toward maternal employment and beliefs regarding childcare quality according to the childcare centers' operating modalities and hours. Participants were 261 mothers sending their children to full day, nighttime, or 24-hour childcare centers. We conducted the data analysis two-way ANOVA using SPS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se working mothers' attitudes toward maternal employment and their beliefs regarding childcare quality and childcare centers' operating modalities and hours.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아(1998). 탁아기관의 질과 영아의 탐색/놀이 행동과의 관계: 물리적 놀이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혜진(1996). 보육시설의 집단 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리진, 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4. 나정, 장영숙, 문무경(2000). OECD 국가들의 유아교육과 보호 정책 및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문영경, 정지나, 이영(2008). 민간보육시설 이용자의 영아보육 만족도 및 요구도.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63-187.
  6. 문혁준(2003).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부모훈육방법에 대한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1), 81-94.
  7.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42(11), 109-122.
  8. 박성연, 임미리(2002).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57-68.
  9. 박윤미(2002). 취업주부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방경숙(2004). 취업모와 미취업모의 양육태도, 양육부담감 및 학령전기 자녀의 기질과 건강관련 변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0(2), 217-224.
  11. 보건복지부(2010). 2009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12. 서문희(2001). 자녀양육실태와 미취학 아동 보육 교육서비스 이용 및 비용에 관한 분석: 출산력 및가족보건실태의 변화양상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서문희, 신나리, 유은영(2007).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및 기능 강화 방안. 육아정책개발센터. 서울: 여성가족부.
  14. 서문희, 임상헌, 임유경(2000). 보육서비스 질 향상 방안: 가정보육시설과 보육인력자격관리를 중심으로. 서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16. 안선희(2005). 취업모의 보육서비스 만족 및 사회적 지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9(4), 311-327.
  17. 여성부(2005). 2004년 보육시설 실태조사. 서울: 여성부.
  18. 연합뉴스(2009. 6. 1). <한국노총 성명> 맞벌이부부에 대한보육대책을 시급히 마련하라. http://media.daum. net/press/view.html?cateid=1065&newsid=20090601143 710555&p=yonhappr에서 2010년 3월 12일 인출
  19. 오선영, 최정미(2004). 취업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2), 109-121.
  20. 유일영, 이경자, 채선미(1998). 탁아방법에 따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직업만족도 비교연구: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2), 159-169.
  21. 이경선, 김주후(2009). 여성의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유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9(10), 464-473. https://doi.org/10.5392/JKCA.2009.9.10.464
  22. 이상화(2002).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보육욕구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영미(2005). 취업모의 자녀양육지원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95-104.
  24. 이완정(1999).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7, 97-114.
  25. 이완정(2009). 취업모의 일-자녀양육 양립 부담감과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시간연장 보육서비스 요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117-126.
  26. 이혜상(2003). 취업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부적응 행동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8(3), 337-354.
  27. 장은경, 박은혜, 김희진(1998). 만 3세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기대. 대한가정학회지, 36(4), 137-146.
  28. 전춘애(1999). 어머니의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성 인식 정도. 한국영유아보육학, 17, 355-379.
  29. 정기선, 임양미, 김혜금, 장은미, 조인숙, 이혜선(2009). 3교대 근무자를 위한 보육시설 운영모델 개발: 하이닉스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30. 정태연, 노현정(2005).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양육죄책감과 양육행동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10(2), 211-231.
  31. 지성애(2007).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영유아 발달과 시설의 질에 대한 부모의 관점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23-43.
  32. 최정미, 이숙(1993). 교사직 취업모의 자녀위탁 실태 및 탁아 요구에 관한 조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134-146.
  33. 통계청(2009). 경제활동인구연보 2008. 대전: 통계청.
  34. 한국여성개발원(2004). 2004 여성통계연보.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5. 황혜경, 정미미(2008). 강원도 보육시설에 대한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이용실태, 만족도,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 차이. 한국영유아보육학, 53, 199-218.
  36. Andersson, B. E.(1989). Effects of public day-care: A longiti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0, 857-866. https://doi.org/10.2307/1131027
  37. Burchinal, M. R., Roberts, J. E., Nabors, L. A., & Bryant, D. M.(1996). Quality of center child care and infant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7, 606-620. https://doi.org/10.2307/1131835
  38. Frede, E.(1995). The role of program quality in producing early childhood program benefits. Future of Children, 5(3), 115-132. https://doi.org/10.2307/1602370
  39. Greenberg, E., & O'Neil, R.(1990). Parents' concern about their child's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fathers' and mothers'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3), 621-635. https://doi.org/10.2307/352929
  40. Greenberger, E., Goldberg, W. A., Crawford, T. J., & Granger, J.(1988).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for childr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2, 35-59. https://doi.org/10.1111/j.1471-6402.1988.tb00926.x
  41. Hock, E., Gnezda, M., & McBride, S.(1984). Mothers of infants: Attitudes toward employment and motherhood following birth of the first chil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2), 425-431. https://doi.org/10.2307/352474
  42. Hock, E., Morgan, K. C., & Hock, M.(1985). Employment decisions made by mothers of infant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9, 383-402. https://doi.org/10.1111/j.1471-6402.1985.tb00888.x
  43. Shpancer, N., Bowden, J., Ferrell, M., Pavlik, S., Robinson, M., Schwind, J., et al.(2002). The Gap: Parental knowledge about daycare. Early Child Development & Care, 172(6), 635-642. https://doi.org/10.1080/03004430215108

Cited by

  1. Unmarried Workers Perceptions of Image and Work-Family Balancing Conditions of Dual-Earner Families vol.31, pp.4,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145
  2. 어린이집과 부모 vol.11, pp.1, 201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