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경애(2006). 대학생들의 결혼관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 조사 -전북과학대생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권인숙(2003).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성의식 및 결혼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권재철(2006). 영남대학교 학생들의 결혼관과 자녀관에 대한 설문조사. 경북: 영남대학교 통계연구소.
- 김경신, 이선미(1998).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이데올로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 27-43.
- 김보경(2005).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신희(2008). 대학생들의 부모화 정도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양희, 문영소, 박정윤(2003).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17, 53-72.
- 김용미, 서선희, 옥경희, 정혜정(2002). 결혼과 가족의 의미. 서울: 양서원.
- 김태현, 임선영(2004).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세대와 성인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85-109.
- 김혜선, 이정읍(2003). 미혼남녀의 결혼준비도, 대한가정학회지, 41(2). 211-224.
- 김혜환(2008). 저출산 시대의 가족가치관 경향, -중등학생과 미혼남녀(20-29세) 실태조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남순현(2007). 예비부부세대의 결혼관에 관한 성차 연구.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27(1), 41-63.
- 문소정(1994). 가족이데올로기, 서울: 여성한국사회연구회.
- 박민자(2004). 혼인 의미의 시대적 변화. 가족과 문화, 16(1). 109-135.
- 박소진(2007). 성인 미혼남녀가 지각한 독립성과 부모의 결혼만족도,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은선(2007). 대학생의 결혼이미지,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및 낭만적 애착의 관계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백영수(2003). 부모의 부부간 갈등이 청년기 자녀의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천안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서울시(2008). 저출산 관련요인 및 정책수요조사, 서울시.
- 신효영, 방은령(2007). 미혼과 기혼 남녀의 결혼관 및 자녀관 비교, 2007년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94-495.
- 오선영(2005). 성인기 애착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데이트 관계 만족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윤미라(2006). 고등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심리적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삼식(2006). 저출산 및 인구고령화 대응 연구. -미래 세대의 결혼.출산 친화적 가치관 정립을 위한 종합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삼식, 신인철, 전남훈(2005).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지원(2006).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진하, 최연실(2006). 미혼여성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가족체계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75-92.
- 임연미(2004). 기독청년의 이성교제 현황 및 결혼관에 관한 조사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임유진(2008).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이 신혼기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장진경(2005).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3(11). 165-184.
- 정윤경(2004). 부부갈등이 성인초기 자녀의 이성과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윤정(2006). 여대생의 결혼과 출산의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은수(2007).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관 및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한경혜(2003). 산업화와 결혼연령 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가족전략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 24, 103-12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의 인구정책 모니터링과 정책개발, 서울: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 Bulcrof, R. A., & Bulcrofe, K. A.(1993). Race differences in attitudinal factors in the decision to marr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 338-356. https://doi.org/10.2307/352806
- Cooney, T. M., & Hogen, D. P.(1991). Marriage in an Institutionalized life course : First marriage among American men in the 20th centur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3, 178-190. https://doi.org/10.2307/353142
- Goldsheider, F. K., & Waite, L. J.(1986). Sex differences in the entry into marrig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0(6), 55, 1410-1427.
- South, S. J.(2001). The variabl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the timing of first marriage : United States, 1969-1993. Social Science Research 30, 606-626. https://doi.org/10.1006/ssre.2001.0714
Cited by
- 남녀 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이성관계에서의 갈등해결전략 및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vol.49, pp.9, 2010, https://doi.org/10.6115/khea.2011.49.9.035
-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 영향 요인 vol.16, pp.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