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ying the Best Approach to Revitalize High School Culinar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조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Kang, Kyeoung-Shim (Depart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강경심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 Received : 2009.10.30
  • Accepted : 2009.11.24
  • Published : 2010.01.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ethods with which to revitalize Korean high school culinary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a culinary recognition questionnaire survey of 616 students from 9 culinary high schools was carried out. The 9 surveyed schools represented the following of 7 regions: Chungnam, Busan, Incheon, Daegue, Jeonbuk, Gyeongbuk, and Gwangju.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x^2$-tes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versio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ulinary practice interest and learning demand of most students were high. 6.8% of students indicated that initial theory learning, followed by video education, and finally live demonstr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y. They preferred practicing on actual ingredients as the prim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nominating technician cooking as the most favorite. As for areas needing improvement in culinary practice education, difficulties with material preparation and insufficient learning hours were identified as prominent factors by 66.8% of respondents. There was unanimous agreement that culinary practice education can be enhanced by highly skilled teachers, while interest for the discipline itself can be fostered by initiating and encouraging cooking participation in the home. Freshmen and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suggested that a cooking related website is necessary to expand the current information interface, which is currently limited to colleagues and employers. In relation to culinary education revitalization, consistent promotion of departments, or high schools that have proven student satisfaction rates and effective culinary curriculum are required. Furthermore, teachers can also aid this process by more effective student pastoral care in order to improve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teacher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process, and better employment conditions and remuneration packages reflecting extra work must be considered as part of an attractive teacher-incentive employment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심, 김갑영(2006). 효과적인 조리 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7), 73-83.
  2. 강경심, 김갑영(2008).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조리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가정과학회지, 11(1), 103-115.
  3. 강재희(2009). 조리실기 방법의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의 비교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강정임(2005). 직업교육 향상을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운영 체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교육인적자원부(2001). 가사.실업계 교육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교육인적자원부(2007a). 고시 제2007-79호 [별책 23]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7. 교육인적자원부(2007b). '2007 개정 교육과정'개요.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8. 김미정(2001). 조리과학 실험을 기초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음식만들기 지도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성호(2003). 조리교육의 체계와 발전방안. 한국조리학회지, 제26차 하계정기학술세미나자료. 7-15.
  10. 김성호(2006). 관광과 조리계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교육 향상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영복(2001). 조리교육시설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영운(2006). 조리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연구. 초당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욱현(2003). e-러닝을 도입한 특급호텔 조리교육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태형(2007). 조리실기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의사소통 모형 개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태형, 김원모(2005). 효과적인 조리실습을 위한 학습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1(1), 1-17.
  16. 나영선, 정재홍, 강종헌, 이정훈(1999). 전문대학 조리과의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5(2), 32.
  17. 노윤희(2008). 조리학과 고등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위한 직업의식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경곤(2004). 조리숙련형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박은숙(2006). 조리실습에 대한 CBAM 적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엄규한(2003). 경북지역 초등학교의 실과 조리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윤계순(2001). 식품영양학전공 및 비전공대학생들의 식품조리에 관한 의식과 조리능력 수준에 대한 조사. 한국조리과학회지, 17(6), 639-647.
  22. 윤인경, 김선태, 장명희(2004).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활성화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4), 115-116.
  23. 장명희(2005). 조리교육의 운영실태와 체계적인 조리인력양성 방안. 한국조리학회지. 11(2), 48-66.
  24. 전기수(2009). 직업전문학교 조리과 학생들의 조리사 직업 인식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전병령(2000).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조리과 교육에 대한 졸업생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진경옥(2002). 부산지역 초등학교 실과 조리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한예정(2008).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Cited by

  1.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Industrial Training of Specialized High School Culinary Teacher vol.31, pp.4, 2010, https://doi.org/10.13000/jfmse.2019.8.31.4.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