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Distance and Attitude toward Migrants' Citizenship in Korea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

  • 조동기 (동국대학교-서울 사회학과)
  • Received : 2010.09.10
  • Accepted : 2010.11.22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distance and attitude toward migrants's citizenship in Korea, a society with increasing cultural diversity. Using data from the 'Multiculturalism and Social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2008, this study analyzes three main issues: social distance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perception of the bases of national identity, and attitude toward migrants' citizenship and the causal factors of the attitude.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distances between Koreans and African Blacks/Arabs a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between Koreans and other ethnic or racial groups. But the relatively large social distances between Koreans and South-East Asians/North Korean defectors poses a more serious challenge to Korean society, since South-East Asi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have comprised ever bigger part of migrants in Korea. The civil element is found to be more important base of national identity than the cultural or the ethnic bases, and there exists a strong negative attitude toward dual nationalit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the potential of global citizenship for migrants will be realized by expanding universalism for basic human rights and awareness of the civil base of national identity on the one hand, and by minimizing the strong belief in ethnic homogeneity and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dual nationality on the other hand.

이 논문은 다문화 사회로 향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이주자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지구화의 진전으로 국가의 영토적 경계를 벗어나서 존재하면서도 본래의 국적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이주자들의 시민권이 다인종 다문화 사회의 중요한 쟁점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2008년에 수행한 '다인종 다문화 사회통합 관련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외국인 및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 국민정체성의 기반에 대한 인식, 이주자들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 즉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와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다. 흑인과 중동인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가 큰 편이지만 현실적으로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이주자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인들과 향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도 상당히 크다는 사실이다. 국민정체성의 기반을 시민적 요소, 민족적 요소, 문화적 요소를 나누어 살펴보면 시민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폐쇄적인 태도가 강하게 나타나 지구적 시민권과는 상충되는 현상이 존재하고 있다.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 모형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사회에서 이주자들을 위한 지구적 시민권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 인권과 평등에 대한 보편주의적 태도와 시민적 자질을 중요시하는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한국사회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단일민족의식과 이중국적에 대한 폐쇄주의적 태도를 약화시켜 나가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비환 (2007)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법철학연구 10(2): 317-348.
  2. 김홍수 (2009) "전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한국 사회와 시민권" 동북아문화연구 제18집: 521-538.
  3. 오만석.김복수.김경일.은기수.김병조.조동기 (2008)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4. 원숙연 (2008) "다문화주의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 한국행정학보 제42집 제3호.
  5. 윤인진 (2008)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2집 제2호.
  6. 최현 (2006) "한국 시티즌쉽(Citizenship): 1987년 이후 시민권 제도의 변화와 시민의식" 민주주의와 인권 6(1): 171-205.
  7. 한도현 (2003) "민족주의와 이중국적의 불안한 동거" 정신문화연구 26(4): 111-131.
  8. 황정미.김이선.이명진.최현.이동주 (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 Ackerman, B. (1988) "Neo-federalism?" pp. 153-194 in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cy Elster, J. and R. Slagstad (e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10. Brubaker, R. (1992) "Civic and Ethnic Nations in France and Germany" pp. 168-173 in Ethnicity Hutchinson J. and A. Smith (eds.) Oxford/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1. Carens, J. H. (2000) Culture, Citizenship, and Community: A Contextual Exploration of Justice as Evenhandednes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2. Cohen, J. (1999) "Changing Paradigms of Citizenship and the Exclusiveness of the Demos" International Sociology 14(3): 245–E268.
  13. Delanty, G. (2000) Citizenship in a Global Age: Society, Culture, Politics Open University Press.
  14. Giddens, A. (1985) The Nation State and Violence Vol. 2 of A Contemporary Critique of Historical Materialism Cambridge: Polity.
  15. Jones, F. L. and P. Smith (2001) "Individual and Societal Bases of National Identity: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7(2): 103-118. https://doi.org/10.1093/esr/17.2.103
  16. Kymlicka, W. and W. Norman (2000) "Citizenship in Culturally Diverse Societies: Issues, Contexts, Concepts" in Citizenship in Diverse Societies Kymlicka, W. and W. Norman (e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 Klusmeyer, D. and A. Aleinikoff (eds.) (2001) Citizenship Today: Global Perspectives and Practices Washington, D.C.: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18. Linklater, A. (1999) "Cosmopolitan Citizenship" pp. 35-60 in Cosmopolitan Citizenship Hutchings, K. and R. Danreuther (eds.) New York: St-Martin's Press.
  19. Marshall, T. H. (1950)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and Other Essay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Rawls, J. (1972) A Theory of Justic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1.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6) "Citizenship" http://plato.stanford.edu/entries/citizenship.
  22. Walzer, M. (1983) Spheres of Justice: A Defense of Pluralism and Equality New York: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