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민화를 활용한 안경소품디자인의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s for Eyewear Accessories Design

  • 장준영 (대구보건대학교 안경디자인학과) ;
  • 최병진 (대구보건대학교 안경디자인학과) ;
  • 이경숙 (대구보건대학교 안경디자인학과)
  • 투고 : 2010.04.30
  • 심사 : 2010.06.19
  • 발행 : 2010.06.30

초록

목적: 민화의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안경 소품디자인의 연구개발. 방법: 전통민화에 나타나는 생동감 있는 색채와 독특한 조형미를 분석하고 그러한 미의식을 안경클리너와 안경케이스에 적용하여 현대적 미감을 가진 디자인으로 재해석한다. 특히 안경클리너와 안경케이스의 넓은 평면은 시각적으로 한국적 특징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 결과: 현재 민화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문화콘텐츠이다. 그러므로 민화를 활용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문화적 이미지로 변화시킴으로써 '문화적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 결론: 민화의 예술성을 접목한 안경소품 디자인은 안경 제품의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세계시장에 안경소품디자인 시장이 확대될 것을 기원한다.

Purpose: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s in the development of eyewear accessories. Methods: Esthetic values with vivid colour and layout of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 was evaluated. Reevaluation of those values was applied into eyeglass cleaners and eyeglass case with modernized fashion. Those accessories had an advantage of suitable space to represent visually images of the paintings. Results: Currently,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s receives attention as an international cultural contents.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enhance cultural consumption of the product whose image was changed with cultural image of the paintings. Conclusions: Utilization of esthetic values into eyeglass makes a positive effects of eyewear accessories, which can be resulted in an expanding international market of eyewear accessories.

키워드

참고문헌

  1. 리차도 코손, 김하정, "안경의 문화사", 에디터, 서울, pp. 30(2003).
  2. 김원경, "시각적 인식과 공간 지각력에 근거한 창의적 표현능력 계발", 기초조형학연구, 3(2):27-29(2002).
  3. 장준영, 노권찬, ''2008년 안경신상품 트렌드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14(3):1-5(2009).
  4. 정병모, "예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 다할미디어, 서울, pp. 261(2001).
  5. 김인규, "황금을 건지는 안경 비즈니스", 매일경제사, 서울, pp. 83(2005).
  6. 김영기, "한국미의 이해", 이화여자대학출판부, 서울, pp. 32-33(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