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현대소비사회에서의 취향과 유행의 상관성과 대중문화의 역할

Correlation between Taste and Fashion in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and Popular Culture

  • 박기웅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
  • 조정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 발행 : 2010.02.28

초록

본고에서는 부르디외의 이론을 바탕으로 취향(또는 기호)이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것의 발현이 아니라 살아온 환경 및 아비투스에 의해 결정지어지며, 이러한 취향(또는 기호)은 모방과 동조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어진다고 본다. 이 흐름이 바로 다수의 승인으로부터 정당성을 확보한 유행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유행의 본질은 헤게모니적 역학 관계 안에 존재하며, 서로의 (계급 문화적) 동질성과 차이점을 결정짓는 데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유행이 유통되는 창구로서의 대중문화 역시 기득권에 정당성을 부여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유행과 대중문화를 통한 지배 전략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할 것과 이를 위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최근 디지털 첨단 기술의 발전에 따른 팬덤문화 및 대안문화는 대중의 상호간 소통을 통한 대중문화 형성의 주체성과 역동성을 기대하게 한다.

This paper claims the argument that the taste of own is not the intrinsic value but is determined by the environment or habitus, based on Bourdieu's theory. This concept of taste leads up to a natural stream of imitation and alignment. We conclude that the stream is the fashion which be justified by the major agreement. But the nature of fashion exists in hegemony and determines a sense of kinship or a point of difference. In this regard, popular cultures as a window circulated fashion have a negative consequence that can be method of discriminating the minority and justifying vested rights. Accordingly, we have to become wary of the strategy of control using fashion and popular cultures, and need to recognize the prior paradigm about fashion. In the process, we can expect that fandom or counter cultures based on digital high technology constitute subjectivity and dynamics of popular by interaction between the obj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현택수, 문화와 권력, 나남출판, pp.56-57, 1996.
  2. http://was.pe.kr/Bourdieu.htm
  3. 이금실, "유행의 사회심리학적 접근", 장안논집, 8집, pp.629-630, 1988.
  4. 이금실, "유행의 사회심리학적 접근", 장안논집, 8집, pp.630-631, 1988.
  5. 이금실, "유행의 사회심리학적 접근", 장안논집, 8집, p.631, 1988.
  6. 허버트 J 갠즈, 강현두 역,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나남출판, p.12, 1998.
  7. 원승룡, 김종운, 문화이론과 문화읽기, 서광사, p.177, 2001.
  8. 강준만, 대중문화의 겉과 속, 인물과 사상사, p.355, 1999.
  9. 송은영,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상허학보, pp.423-425, 2005.
  10. 이혜림, "1970년대 청년문화구성체의 역사적 형성과정", 사회연구, 2005.
  11. 헨리 젠킨스, 정현진 역,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p.63, 2008.
  12. cafe.daum.net/AsYouLikeIt30
  13. 김영찬, 이기형, "'네 멋대로 해라': 행복한 폐인들의 미디어 순례기와 문화적 수행(cultural performance)", 한국언록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발제문, 2003.
  14. 헨리 젠킨스, 김정희원/김동신 역, 컨버전스 컬쳐, 비즈앤비즈, pp.93-94, 2008.
  15. 헨리 젠킨스, 정현진 역,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p.208, 2008.
  16. 파트리스 보네위츠, 문경자 역, 부르디외 사회학입문, 동문선, p.69, 2000.
  17. 김덕영, "청소년, 유행 그리고 문화 : 이스트팩 사례 연구", 주체.의미.문화, 나남출판, p.196, 2001.
  18. 파트리스 보네위츠, 문경자 역, 부르디외 사회학 입문, 동문선, p.54, 2000.
  19. 헨리 젠킨스, 김정희원/김동신 역, 컨버전스 컬쳐, p.5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