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dency of Traditional Character in Korean Modern House Architecture as an Art Work

한국 근.현대 주택작품에서 나타나는 전통성 해석의 시대적 경향

  • 전남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지주거학)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Since modernization period thru Japanese colonial era the modern architect began to play a important role for Korean housing architecture. So called 'House as an Art Work', detached houses by prominent architects, belong to a meaningful sector in Korean modern housing architecture. The harmony with tradition was always big issue for such work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paradigms for tradition were interpret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 The analysis showed various tryout by architects, that concretiz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ir work. For example, traditional lifestyle were clearly reflected in the floorplan during 30's and 40's. In the 70's building mass and formative roof design were emphasized to present traditional image. As well as it represented primitive esthetic and vernacular decoration. In addition, expressive tendency, that demonstrates korean sentiment through material and its texture, got a preference. Since latter half of 80's some traditional architectural elements were modernized and space characteristics were newly created from acculturation. Furthermore the philosophy of "Subdivision of building wings and Emptiness" follows this trend. This type made a courtyard and connected articulated building masses each other. "Sympathy with Nature" were most essential for a traditional houses in contrast with western architecture. Many architects today make various method to bring nature into interior space and to contemplate nature In the house. Such kinds of adaptation to tradition could be understood as a unique process to manifest identity of Korean modern houses.

Keywords

References

  1. 건축세계사편, PA-세계건축가시리즈 김중업, 건축세계사, 서울, 1997
  2. 정인하, 김중엽 건축론, 시적 울림의 세계, 산업도서출판공사, 서울, 2000
  3. 주택문화사 편, 건축가 30인의 주택작품집, 주택문화사, 서울, 1993
  4. 현대건축사 편, CA-현대건축, 현대건축사, 서울, 2000
  5. 이승헌, 김수근과 김중업 건축의 지역성구현에 관한 비교연구, 건축역사연구, 13권 3호, 2004
  6. 강성중, 한국전통주거의 변용과 재해석에 의한 현대주거공간 디자인 모형연구, 서울대한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신경화,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작품주택에 나타난 전통성의 현대적 구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 이호정, 주거 문화적 측면에서 본 한국 근현대 주거건축의 문화적 변이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9. 임창복, 한국 도시 단독주택의 유형적 지속성과 변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10. 전경화, 우리나라 작품주택의 공간구성적 특성 및 그 변화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1. 최혜진, 한국 건축가에 의한 단독주택 형태구성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2. 강윤식.이동언, 김수근 건축에 나타난 복합적 영향관계 -헤롤드 블롬의 "영향이론"을 바탕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7호, 2004
  13. 정인하, 단게 겐죠와 요시무라 준죠 그리고 김수근의 전통론 비교,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1권 7호, 1995
  14. 승효상, 수졸당, 건축과 환경, 1993. 01
  15. 윤승중, 한국주택건축의 실상 : 1970년대 주택 건축 양식, 공간, 1988. .1
  16. 이범재, 1990-91년 한국 주거건축의 경향, 플러스, 1988. 02,
  17. 공간, 1977. 01; 1978. 12; 1980. 01; 1981. 12; 1988. 07
  18. 건축, 4권 6호; 10권 1호
  19. 건축문화, 1981. 09; 1988. 04; 1989, 08; 1989. 09; 1991, 01
  20. 건축사, 1981. 09; 1982. 09; 1984. 03
  21. 조선과 건축, 8권 12호; 11권 7호; 19권 2호
  22. 플러스, 1987. 05; 1988, 02; 1988. 06; 1989. 02; 1989. 11
  23. http://ca.mmpia.co.kr
  24. http://.www.ki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