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마을 배치기법에 따른 북서울꿈의숲 설계

Design of North Seoul Dream Forest Based on Traditional Village Design Methods

  • 발행 : 2010.02.28

초록

서울시가 추진해온 대규모 공원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강북지역의 생활권 공원조성을 위하여 드림랜드 부지를 거대한 녹지의 숲과 공원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공간 구성기법으로 채움보다는 비움의 미학을 통하여 불확실한 도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잠재성을 부여하였고, 경관구성을 위하여 전통적인 서울의 산악경관 요소를 도입하고 차경하여 조망축을 형성하였는데, 유려하게 펼쳐진 한폭의 산수화 같은 한 그루의 나무, 하늘과 바람, 그리고 물과 흙의 심상이 표현되고 있다. 이것은 도시화의 계획에 배제되어 왔던 자연을 중요한 고려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서, 서구도시의 건축적 랜드마크와는 차별화된 우리의 산과 구릉지 모습으로 도시경관의 지배적 랜드마크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통의 경관개념과 한국적 공간의 유형에서 추출한 시설배치 기법과 요소를 설계에 적용하여 기존의 도시가로와 마당과 같은 공원의 공간이 전통적 위계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도시의 확장된 오픈 필드(open field)를 통하여 공간경험의 다양성과 잠재성을 추구하여 북서울꿈의숲을 설계하였다.

Seoul City planned "Dreamland" to be in harmony with the huge woods and park. It is located in the life zone in the northern region of Seoul as part of an extensive park development plan that the municipal government has promoted. The space configuration technique of the aesthetics of "Empty" rather than "Full" gives the potentiality to cope with the uncertain changes in the city. Furthermore, the traditional element of the mountain landscape of Seoul was introduced and appropriated as the axis of the landscape for landscape configuration. In that configuration, the images of tree, sky, wind, water and soil are elegantly unfolded like a landscape painting. The purpose was to create a dominant landmark in the city landscape with the figures of Korean mountains and hills which were differentiated from architectural landmarks in the western cities by making nature, which was excluded from the urbanization plans up to now, an important subject for consideration. As a result, this study madethe space in a park including existing yards and streets in a city have the traditional hierarchy by applying the facility arrangement technique and elements extracted from Korean space types and traditional landscape concepts. Moreover, the North Seoul Dream Forest was designed by pursuing diversity and potentiality in the experience of space using a large open field in a 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영일 (2009) 전통문화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 전통경관과 조경. 문화. 환경을 둘러싼 열네가지 이야기. 파주: 조경.
  2. 김도경, 최원만, 홍형순(2008) 강북 대형공원 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6(4): 1-14.
  3.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 (2001) 한국의 전통수경관. 서울: 태림문화사.
  4. Levy, Leah (1998) Kathryn Gustafson: Sculpting the Land. Cambrige: Spacem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