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man Resources Study on Women Immigrated through Marriage and How to Improve their Employment

여성결혼이민자 인적자본의 특성 및 취.창업 지원 방안 연구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Previous studies on women who immigrated through marriage were focused on the frictional issues within the couple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language tutoring. However, for the long-term integration of these women into society and the acquisition of status, it is most important to increase their economic value. Indeed many such women are facing economic difficulties, and have a strong desire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economic self-sufficiency of these women through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We analyze their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experience and attempt to find the most effective policies to support them. We take particular interest in their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propose policies and frameworks for supporting their successful enterprise cre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애, 김오남. 농촌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착과정 어려움과 욕구에 관한 연구. 대불대학교 논문집 13.
  2. 김두섭 (2006). 한국연 국제결혼의 설명틀과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의 분석. 한국인구학 29(1), 25-56.
  3. 김민정, 유명기, 이혜경, 정기선(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9(1), 159-193.
  4. 김상임(2004). 상담사례를 통해 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 3주년 심포지엄: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자료집.
  5. 김애령(1998). 충남거주 조선족 여성의 결혼과정과 적응에 관한 연구. 충남도청.
  6. 김영주(2006). 충남 국제결혼가족 실태 및 지원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여성정책개발원.
  7. 김오남(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9(3), 63-106.
  8. 김은숙, 김승희, 김신영(2006). 강원도 여성 결혼이민자 지역사회적응 지원 실태조사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강원지역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9.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10. 김현미(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정치학. 경제와 사회 70, 10-37.
  11. 민가영 (2004). 글로벌자본과 로컬가부장의 충돌과 공모: 조선족 여성 이주를 둘러싼 조선족 사회의 '여성유실' 담론을 중심으로. 국가횡단시대 변화하는 아시아의 여성: 이화여자대학교 창립 118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이화여대 아시아여성연구소.
  12. 민경자(2003). 충남거주 외국인 주부의 정착 지원방안 연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13. 박재규, 이윤애 (2005). 전라북도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정착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전북발전연구원.
  14. 설동훈, 윤흥식(2005). 국제 거주 여성결혼 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5.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16. 세계일보(2007). 박화서. 2007. 12. 13.
  17.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여성결혼이민자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교육프로그램 개발. 아시아여성연구 47(1), 139-178.
  18. 신경희, 양성은.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 1-8.
  19. 안양전진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위홈(2003).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착토론회 자료집. 국가인권위원회.
  20. 안혜령, 이순형 (2009).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학업성취 비교. 아동학회지 30(1), 1-10.
  21. 양순미(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22. 오성배(2006). 한국사회의 소수민족 '코시안''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23. 우현경, 정현심, 최나야, 이순형, 이강이(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23-36.
  24. 윤인진, 송영호(2009).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활모델로서의 창업: '시민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25-44.
  25. 이금연(2003). 국내 국제결혼과 그 이해-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언을 위한 원탁토론회. 안양전진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26. 이순형(2006). 국제결혼 농촌 이주여성 가족의 정착지원방안. 농촌국제결혼 정착방안 세미나 자료집. 농촌진흥청 .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7. 이윤애 (2004). 전북지역 외국인여성 정착지원 방안. 전북여성발전연구원.
  28. 이혜경(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29. 정기선, 김영혜, 박경은, 이은아, 박지혜, 이승애, 이지혜(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30. 정은희(2004). 농촌 지역 국제결혼 가정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언어치료 연구 13(3), 33-52.
  31. 정일선, 김명화(2004). 국제결혼 외국인 여성의 적응을 위한 정책과제. 경북여성정책개발원.
  32.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19.
  33. 한국염(2004).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3주년 심포지엄: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자료집.
  34. 한영현(2006). 전남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실태 및 문제점. 전남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복지실태조사 보고회 자료집.
  35. 홍기혜(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 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홍성희, 김성숙. 여성결혼이민자가족의 지원을 위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119-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