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and Development of Effective Models of Science Teacher Efficiency

과학 교사의 효능감 관련 요인 탐색을 통한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모형 개발

  • Received : 2010.02.01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in science teachers efficiency (STE). The participants, thirty thre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ho have more than fou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interviewed about describing each teacher's experience throughout one's years of teaching. The grounded theory introduc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paradigm analysis revealed that STE is influenced by 125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In a paradigm model, the central phenomenon was 'constructing STE', and the causal condition was 'want to be a teacher' as career choice motiva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have an affect on the central phenomenon were 'self awareness of the teacher' and 'social awareness of the teacher.' The mediate conditions, which facilitated or restrain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societal tendency', 'school climate', and 'personal contex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following the line,' 'identify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ak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contributing to school improvement.' The consequences were 'teacher's self awareness', 'challenge,' and 'stagnating in teaching.' The overall conclusion drawn from this research is that, the definition of STE is beliefs in science teachers' capabilities to set up objects in some school teaching context and, organize and execute the course of action required to attain these. Additionally, STE has three dimensions of teacher's behaviors: science instructional efficiency, efficiency in engaging students, and efficiency in managing school conditions.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the nature of STE and theoretical framework. These findings may give scien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th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to build effective training programs and interventions that would help increase STE and facilitate effective teaching.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등 과학교사 서른세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행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탐색하고, 교사의 다양한 경험이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탐구함으로써,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여 과학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이해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개방 코딩 분석과정을 통해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관련하여 125개의 개념으로부터 38개의 하위 범주와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범주화를 통하여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드러나며,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중심 현상인 '과학 교사 효능감의 형성'의 하위 범주로 과학 수업 현장, 학생과의 관계, 학교 행정 업무가 도출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거나 발전시키는 사건인 인과적 조건은 '교사가 되고 싶음'이다. 또한, 현상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상황이나 문제를 만들어내는 특수한 조건의 집합인 맥락적 조건으로는 '교사로서 나를 인식함', '교사를 바라보는 시선을 인식함'이 있다. 진행되고 있는 현상에 영향을 주는 광범위한 구조적 상황으로서 중재적 조건은 '사회 분위기', '교직 풍토', '개인 상황'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과정에서 '능력 계발을 위한 교사의 노력'을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파악하고, 효능감 수준에 따라 교사들이 사용하는 전략의 유형과 전략 사용에 대한 태도를 탐색하였다. 전략을 사용하는 행동으로는 '받아들이기', '내 방식 찾기', '자기 계발하기', '교육 현장 개선하기'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취하여 나타난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결과 교사의 모습'으로 '교사의 모습을 재인식함', '변화를 모색함', '안정속에 머무르기'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모형의 중심 범주인 '과학 교사 효능감의 형성'을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해, 다른 범주를 통합시키고 정교화 함으로써 과학 교사의 경험이 과학 교사 효능감의 형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사 효능감을 특수한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수, 학생과의 관계 형성, 학교 행정 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필요한 행동 과정을 조직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정의하고 과학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의 가능성 및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보경, 노태희 (2004).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력과 과학 교수 효능감 및 기타 배경 변인들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23 (4), 326-331.
  2. 김아영, 김민정. (2007).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 간의 관계. 김아영 (편), 학업적 자기효능감: 이론과 현장연구 (pp. 299-331). 서울: 학지사.
  3. 박성혜 (1998).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측정도구 개발. 초등과학교육, 16 (2), 205-224.
  4. 박성혜. (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1), 122-131.
  5. 임희준 (2007).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 비교. 초등과학교육, 26 (1), 131-139.
  6.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 24 (4), 258-272.
  7. 주동범, 이성택. (2007). 교사효능감 관련변인 분석. 김아영 (편), 학업적 자기효능감: 이론과 현장연구 (pp. 273-297). 서울: 학지사.
  8. 최동선. (1996).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전강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Akerson, V. L., & Flanigan, J. (2000).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to us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cience and language arts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 (4), 345-362. https://doi.org/10.1023/A:1009433221495
  10.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Longman.
  1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series in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13. Czerniak, C. M. (1989).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ce teaching anxiety, self-efficacy, teacher education variabl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14. Czerniak, C. M., & Chiarelott, L. (1990).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science instruc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 (1), 49-58.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107
  15. Denham, C. H., & Michael, J. J. (1981). Teacher sense of efficacy: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a model for further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6 (1), 39-63.
  16. Dembo, M. H., & Gibson, S. (1985). Teacher' 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 173-184. https://doi.org/10.1086/461441
  17.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18. Goddard, R. D., Hoy, W. K., & Woolfolk Hoy, A. (2004). Collective efficacy beliefs: Theoretical developments, empirical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Educational Researcher, 33, 1-13.
  19.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20. Riggs, I. M. (1988).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21.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 (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22. Smylie, M. A. (1988). The enhancement function of staff development: Organizational and psychological antecedents to individual teacher chang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 (1), 1-30. https://doi.org/10.3102/00028312025001001
  23. Stern, P. N. (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ces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2 (1), 20-23. https://doi.org/10.1111/j.1547-5069.1980.tb01455.x
  24.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5. Strauss, A. L., & Corbin, J. M.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6. Tschannen-Moran, M., Woolfolk Hoy, A.,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 (2), 202-248. https://doi.org/10.3102/00346543068002202

Cited by

  1.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vol.9, pp.3, 201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