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Creative Personality

영.유아교사의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 윤정진 (동명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형재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Published : 2010.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205 preschool teachers from kindergarten or nursery school in Busan. The McCanthy(1993)'s HMI(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Torrance(1988)'s WKOPAY(What Kind Of Person Are You?)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preschool teachers' hemispheric mode indicator and creative personality.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hemispheric mode indicator of right hemispheric dominanc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inquisitiveness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self-confidence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 creative person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hemispheric dominance types. That is, the creative personality of right hemispheric domin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eft or exhibit balanced hemispheric dominance but it was no difference between left hemispheric dominance and exhibit balanced hemispheric dominanc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elf-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awareness of others but no difference Acceptance of Authority and Disciplined Imagination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hemispheric dominance types.

본 연구의 목적은 영 유아교사의 좌우뇌 선호도와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를 통해서 창의성 증진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였으며 검사도구는 McCanthy(1993)의 HMI(Hemispheric Mode Indicator)를 류명희(2004)가 번역한 검사와 Torrance(1998)의 자기보고식 창의적 성격검사(WKOPAY)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Pearson의 상관분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우뇌 선호도가 높아질수록 창의적 인성 및 탐구심은 높지만 자신감은 낮았다. 그러나 뇌 선호도와 권위의 수용, 적극적 상상력 및 타인에 대한 의식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 선호유형에 따라 창의적 인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우뇌 선호형 교사가 창의적 인성이 가장 높았으며 좌뇌 선호형과 통합뇌형 교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뇌 선호유형에 따라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의 차이는 자신감, 탐구심, 타인에 대한 의식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권위의 수용이나 적극적인 상상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두뇌의 기능분화에 따른 교수전략이 창의력 및 자연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2. 고영희, “한국인의 뇌”, 아주대학교 논문집, 제11집, pp.141-174, 1989.
  3. 김남성, “창의성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제25권, 제1호, pp.143-161, 1995.
  4. 김명숙, “통합적 창의성 모형의 구성”, 교육심리연구, 제15권, 제3호, pp.5-27, 2001.
  5. 김애경,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자아개념 및 창의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5-23, 2001.
  6. 김은미, “동화만들기 활동경험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7. 김종안, “우뇌-경험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성 증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8. 김종안,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8.
  9. 박병기, 창의성 교육의 기반, 서울 : 교육과학사, 1998.
  10. 박숙희, “뇌의 기능분화와 창의성, 학업성취의 관련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1. 박숙희, “뇌의 기능분화에 있어서 통합뇌와 비통합뇌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3호, 제1권, pp.203-228, 1999.
  12. 박숙희, “뇌의 기능분화와 창의성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4권, 제3호, pp.31-56, 2000.
  13. 박영태, “창의성, 인성, 그리고 창의적 인성의 의미 분석”,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29권, pp.23-50, 2001.
  14. 서현아,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인식 분석”, 발달장애학회지, 제5권, 제1호, pp.109-121, 2000.
  15. 서현아, “유아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정신지체연구, 제2권, pp.89-104, 2001.
  16. 송인섭, 김혜숙,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13권, 제3호, pp.93-117, 1999.
  17. 이경준, “학습부진아의 인지특성분석과 효율적인 교수전략 탐색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3.
  18. 이강섭, 황동주, 홍지창, 이상원, “뇌 기능 분화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제13권, 제2호, pp.701-715, 2002.
  19. 이용주, 문미옥,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 분석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223-242, 2000.
  20. 이철환, “우뇌훈련을 통한 창의성 개발에 관한 실험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1. 장미정, “유아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2. 장영숙, 정혜영,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의 교육신념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인식”, 유아교육학논집, 제8권, 제4호, pp.277-296, 2004.
  23. 차미정,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방법, 교사 훈련여부가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24. 최미숙, 황윤세,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87-106, 2005.
  25. 최영아,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분석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6. 하종덕, “두뇌기능 특성 및 인지양식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27. 하종덕, “우뇌기능 훈련이 뇌의 인지특성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28.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제14권, 제2호, pp.187-210, 2000.
  29. 하주현, “창의적 인성검사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5권, 제3호, pp.323-351, 2001.
  30. 황윤세, 최미숙,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창의성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6권, 제1호, pp.247-259, 2005.
  31. 황희숙, 강승희, “예비 유아교사의 사고양식 및 성격유형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131-150, 2005.
  32. T. M. Amabile, Growing up Creative :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New York : Crown Publishers, 1988.
  33. T. M. Amabile, "Enterpreneurial Creativity through Motivational Synerg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31, No.1, pp.18-26, 1997. https://doi.org/10.1002/j.2162-6057.1997.tb00778.x
  34. J. R. Blackslee, The Right Brain, NY: Anchor Press, 1980.
  35. M. Csiksentmihalyi, Society, Culture and Person :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325-339, 1988.
  36. S. V. Garrett, "Putting Our Whole Brain to Use: A Fresh Look at the Creative Proces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10, No.4, pp.239-249, 1976.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6.tb00145.x
  37. J. C. Gowan, "The production of creativity through right hemisphere imager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13, No.1, First Quarter, pp.39-49, 1979.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9.tb00188.x
  38. M. P. Grady and E. A. Luecke, Education and brain, Bloomington phi delta, 1978.
  39. I. Harpaz, "Asymmetry of hemispheric function and creativity : an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25, No.4, pp.275-295, 1990.
  40. B. A. Hennessey and T. M. Amabile,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1-38, 1988.
  41. R. S. McCallun and S. M. Glynn, "Hemispheric specialization and creative behavior,"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13, No.4, pp.263-273, 1979.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9.tb00215.x
  42. C. R. Reynold and E. P. Torrance, "Perceined change in styles of learning and thinking (Hemisphericty)through direct and indirect training,"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12, pp.247-251, 1978.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8.tb00172.x
  43. R. J. Sternberg and T. I. Lubart,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Vol.51, pp.677-688, 1996(7). https://doi.org/10.1037/0003-066X.51.7.677
  44. R. J. Sternberg and T. I. Lubart, The concept of creativity : Prospects and paradigms,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3-15, 1999.
  45. E. P. Torrance, Is Creativity Teachable?, Bloomington, Indiana : PDK, 1973.
  46. K. K. Urban,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Beijing, China, pp.5-8, 1995(8).
  47. A. S. Vincent, P. O. Brian, and M. D. Mumford, "Divergent thinking, intelligence, and expertise : A test of alternative models," Creative Research Journal, Vol.14, No.2, pp.163-178, 2002.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402_4
  48. G. H. Wheately, "The Right Hemispheres Role in Problem Solving," Arithmetic Teacher, Vol.25, pp.36-39, 1977.
  49. M. Gilchrist,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Melbourne University Press, 1972.
  50. D. J. Treffinger, "Creative Problem Solving : Ovewview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7, pp.301-312, 1995. https://doi.org/10.1007/BF02213375
  51. R. W. Woodman and L. F. Schoenfeldt, "An inter actionist model of creativity behavior,"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24, No.4, pp.279-290, 1990. https://doi.org/10.1002/j.2162-6057.1990.tb00549.x
  52. R. J. Stenberg and T. I. Lubart, Defying the Crowd :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 Free Press,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