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arch of Gender-Specific Theory through Empirical Testing of Factors of Girls' Delinquency based on Feministic Perspectives

페미니스트 관점에 근거한 소녀비행 요인의 검증을 통한 성-특성적 이론의 모색

  • 김지연 (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조현빈 (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Published : 2010.01.28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 of dissatisfaction about own real conditions, deviant labeling, self-esteem, abuse from parent, victimization and juvenile delinquency(smoking, drinking, run-away, assault, taking away stuffs or money, larceny). The evidence of a strong relation of these factors and girls' delinquency is well known through empirical researches by feminist criminologists. Feminist criminology had attention to the gender-specific factors that could explain girls' delinquency. Most of conventional delinquency theories, such as social bond theory,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focused on bad boys' deviant behaviors. These theories has not been designed to apply to girls' troubles.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there seems to support researches of feministic perspectives.

지금까지 일반적인 청소년비행을 설명하는 이론들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여성 특히 여자청소년의 비행에 관련되는 요인들을 설명하는 이론들은 극히 소수이고, 대표적인 청소년비행 이론들은 성 중립적인 사회이론으로 소년들의 비행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들이다. 따라서 여성의 특수하고 독특한 경험을 반영하는 여자청소년의 비행에 보다 설득력 있는 요인을 도출해낼 수 있는 성-특성적(gender-specific) 이론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여자청소년의 비행을 설명하는 성 특성적 요인들의 검증을 수행하였고, 소녀들의 비행을 설명하는데 적절한 요인들에 대한 학자들 간에 일치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지만, 일부 요인들은 소년들보다는 소녀들의 비행을 설명하는데 보다 적절하다는데 합의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여자청소년의 비행을 설명하는데 적절한 성 특성적 요인들로 알려진 요인들로서 개인적 상황에 대한 불만, 스스로의 일탈적 낙인과 주위의 일탈적 낙인, 자존감, 부모로부터의 학대나 주변 사람으로부터의 범죄 피해 경험 등의 요인과 비행의 관계를 한국청소년 패널조사(KYPS)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 결과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요인들이 소년들의 비행 보다는 소녀들의 비행을 설명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후속연구의 수행을 통해 성-특성적 이론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F. Heidensohn, Women and Crime, MACMILLAN PRESS LTD, 1996.
  2. Leah E. Daigle, Gender, risk factors and Juvenile misconduct: assessing the generality-specific debate, University of Cincinnati, Ph. D. Dissertation, 2005.
  3. M. Chesney-Lind and R. Pasko, The Female Offender, SAGE Publications, 2004.
  4. K. Holsinger, "Feminist perspectives on female offending: Examining real girls' lives," Women and Criminal Justice, No.12, pp.30-34, 1989.
  5. 정익중, “청소년비행의 성별차이”, 한국청소년 연구, 제16권, 제1호, pp.389-410, 2005.
  6. J. K. Wesely, "Considering the context of women's violence: gender, lived experiences, and cumulative victimization," Feminist Criminology Vol.1, No.4, pp.303-328, 2006. https://doi.org/10.1177/1557085106293074
  7. D. Finkelhor and L. Baron, "Risk factors for child sexual abuse," Journal of Interpersonal, No.1, p.45, 1986.
  8. A. Browne and D. Finkelhor,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A review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99, No.69, pp.267-268, 1986.
  9. B. Richie, K. Tsenin, and C. Widom(Eds.), "Research on women and girl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pp.1-13, 1999.
  10. T. N. Crawford, "Internalizing symtoms in adolescents: Gender differences in vulnerability to parental distress and discord,"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No.11, pp.110-112, 2001.
  11. M. Morash and B. O. Moon,.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train on the delinquency of South Korean youth," Youth & Society, Vol.38, No.3, pp.299-321, 2007.
  12. J. Belknap, 윤옥경 외(역), 여성범죄론: 젠더, 범죄와 형사사법, CENGAGE Learning, 2009.
  13. R. L. Akers and C. S. Sellers, 민수홍 외(역), 범죄학이론, 나남, 2004.
  14. L. J. Siegel, 이민식 외(역), 범죄학: 이론과 유형, CENGAGE Learning, 2009.
  15. 김준호, 김은경, 여자청소년의 비행실태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