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fremdung Effekt(V-Effekt)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 Costumes - Focusing on masked drama, Beijing opera, and Kabuki -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소외효과(V-Effekt) 연구

  • Lee, Mi-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 Yang, You-Mee (Dept. of Clothing & Textil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미숙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 양유미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recht's V-Effekt is visually expressed of the costume in the Traditional Play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method and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to refer to the antecedent studies and the related documents to per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plays of the East and West, the origin and the concept of Brecht's Verfremdung and considered the relation of Brecht's V-Effekt and the Oriental plays, and then the researcher derived the aesthetic properties of Brecht's V-Effekt. This study analyzed how those qualitie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n the V-Effekt are manifested on the stage costumes of Korean mask, Beijing opera and Kabuki. The aesthetic qualities of Brecht's V-Effekt are classified into symbolism, grotesque disposition, character of sing and dance, comicality. The symbolism in the traditional play costumes of the three nations is shown in the colors of the masks in Korean and the tone of the colors on the costumes and the make-up in Beijing opera and Kabuki. While the properties of bizarrerie and deformation coexist in masque and Beijing opera costumes in terms of grotesque disposition, Kabuki strongly displays bizarre grotesquerie. The character of sing and dance is visually express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sleeves on the three nation's traditional play costumes; Masque on the Hansam and Chengsam, Beijing opera on the Water sleeves and Kabuki on Hurisode. The comic aspection is expressed in a humorous and comical way through the distortion and transformation of forms in Masque and Beijing opera but it cannot be seen in Kabuki costume. The study as above will form the aesthet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traditional play costumes and also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mask costumes.

Keywords

References

  1. 박란이 (1998). 브레히트의 서사극에 나타난 희극성.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8.
  2. 명인서 (2002). 탈춤. 동양의 전통극. 서양의 실험극. 서울: 연극과 인간. p. 57.
  3. 김택완 (2006), 브레히트의 서사극과 음악. 서양음악학, 1(10). p. 124.
  4. 명인서 (2002). 탈춤. 동양의 전통극. 서양의 실험극. 서울: 연극과 인간. p. 114.
  5. 박효숙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네오 모던적 '낯설게 하기'의 미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명은정 (2005). Mix&Match 스타일의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낯설게 하기'의 현대적 표현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명인서 (2002). 탈춤. 동양의 전통극. 서양의 실험극. 서울: 연극과 인간. p. 9.
  8. 장혜전 (2003). 동양 전통극이 서구 연극에 미친 영향. 수원대학교 논문집. 21, p. 26.
  9. 장혜전 (2003). 동양 전통극이 서구 연극에 미친 영향. 수원대학교 논문집. 21, p. 28.
  10. 안영정 (1984). B. Brecht의 서사극 기법 고찰. Echo. 1(3). pp. 175-176.
  11. 안영정 (1984). B. Brecht의 서사극 기법 고찰. Echo. 1(3). p. 173.
  12. 정진수 (1998). 현대연극의 이해. 서울, 예음. p. 151.
  13. 최정일 (1998). 서구의 비사실주의 무대언어와 동양의 전통연극과의 관계 고찰. 경성대논문집. 19(1). p. 198.
  14. 정문길 (1978). 소외론 연구.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24.
  15. 정문길 (1978). 소외론 연구. 서울 문학과 지성사. pp. 40-43.
  16. 이재진 (1990). 브레히트 이전에 나타나는 소외기법. 독일문학, 45(1). p. 275.
  17. 이재진 (1990). 브레히트 이전에 나타나는 소외기법. 독일문학, 45(1). p. 284.
  18. 명인서 (2002). 탈춤. 동양의 전통극. 서양의 실험극. 서울: 연극과 인간. p. 126.
  19. 이재진 (1990). 브레히트 이전에 나타나는 소외기법. 독일문학, 45(1). p. 291.
  20. 박란이 (1998). 브레히트의 서사극에 나타난 희극성.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7.
  21. 김창화 (1981). 사사극의 이화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22. 안영정 (1984). B. Brecht의 서사극 기법 고찰. Echo. 1(3). pp 179-180.
  23. 장혜전 (2003) 동양 전통극이 서구 연극에 미친 영향. 수원대학교 논문집. 21, p. 30.
  24. 송동준 (1998). B. Brecht의 서사극과 그 영향. 한국 연극, 통권 70호, p. 20.
  25. 이재진 (1990). 브레히트 이전에 나타나는 소외기법. 독일문학, 45(1). p. 295.
  26. 이상면 (2001). 브레히트와 동양연극. 서울: 평민사, p.247.
  27. 김종국 (1998). 영화의 브레히트 수용에서 나타난 희극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28. 명인서 (2002). 탈춤. 동양의 전통극. 서양의 실험극. 서울: 연극과 인간. p. 58.
  29. 명인서 (2002). 탈춤. 동양의 전통극. 서양의 실험극. 서울: 연극과 인간. pp. 55-56.
  30. 여석기 (1987). 동서연극의 비교연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p. 36.
  31. Pronko, L. (1967). Theatre East and West. L.A .. Univ. of California Press. p. 5.
  32. 이옥경 (1998). 피나 바우쉬작품에 나타난 극적 표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43-44.
  33. 박란이 (1998). 브레히트의 서사극에 나타난 희극성.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15.
  34. 김창우 (1985). Brecht와 일본연극. 독어독문학. 15. p. 241.
  35. 박란이 (1998). 브레히트의 서사극에 나타난 희극성.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3.
  36. 김종국 (1998). 영화의 브레히트 수용에서 나타난 희극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6.
  37. 정미진 (1985). 조형예술에 있어서의 [양식]문제(1). 미학, 10(1). p. 112.
  38. 정시화 (1980). 현대 디자인 연구. 서울: 미진사. p. 93.
  39. 石呈祥 (2003). 京劇藝術. 河北大學社出版社. pp. 250-251.
  40. 양유미 (2009). 한.중.일 전통극의 복식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4.
  41. 전경욱 (1998).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서울: 열화당. p. 78.
  42. 자료검색일 2009. 7. 30 자료출처 http://blog.daum.net/
  43. 조규화 (2004). 복식미학. 서울:수학사. p. 140.
  44. 石呈祥 (2003). 京劇藝術. 河北大學社出版社. p. 249.
  45. 京劇藝術研究所, 上海藝術研究所 組織編著(1999). 中國京劇(上巻) 京劇研究所, 上海藝術研究所, p. 246.
  46. 차미경 (2005). 상징의 미학 경극. 서울: 선서원, p. 69.
  47. 차미경 (2005). 상징의 미학 경극. 서울: 선서원, p 68.
  48. 顧朴光 (2000). The History Of Chinese Mask. 홍희 역 (2007). 중국탈의 역사. 서울: 동문선, p. 461.
  49. HILIT 편집부. The Face af Chinese Opera. 김은주. 김유정, 박혜경 역 (2006). 경극의 얼굴 분장. 정담미디어, p. 54.
  50. 切畑健(1994). 歌舞伎衣裳. 京都書院. p. 92.
  51. 岩田 アキラ (2005). 歌舞伎のデザイン圖典. 東方出版. p. 130.
  52. 切畑健(1994). 歌舞伎衣裳. 京都書院. p. 20.
  53. 자료검색일 2009. 8. 1.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morimorie-동영상
  54. Harpham, G. G. (1982), On the Grotesque: Strategies of Contradiction in Art and Literature. Surrey &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24-132.
  55. 김학현 (2004). 가부키(분방하고 화려한 서민의 연극). 서울: 열화당. p. 113.
  56. 자료검색일 2009. 7. 30. 자료출처 http://ralarala.com/
  57. Colin Mackerras (2001). Chinese drama: a historical survery. 김장환, 하경심, 김성동 역 (2002). 중국 연극사. 학고방, p. 58.
  58. 홍희 역 (2007). 중국탈의 역사. 서울: 동문선, p 460.
  59. 차미경 (2005). 상징의 미학 경극. 서울: 선서원, p 90.
  60. Ortolani, B. (1995). The Japanese Theatre, In the United Kingdo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94.
  61. 김학현 (2004). 가부키(분방하고 화려한 서민의 연극). 서울: 열화당. p. 8.
  62. 河竹登志夫 (2001). Kabuki. 최경국 역 (2006). 가부키, 창해. p. 144.
  63. 여석기 (1987). 동서연극의 비교연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pp. 36-40.
  64. 전경욱 (1998).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서울 열화당. p. 380.
  65. 자료촬영일 2008. 9. 30 자료출처 2008년 38회 안동국제탈춤페스티발
  66. 石呈祥 (2003). 京劇藝術. 河北大學社出版社. p. 248.
  67. 자료검색일 2009. 7. 30 자료출처 http://video.search.naver.com/
  68. 송효숙 (1997). '꼭두각시놀음'의 희극성 고찰.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부, 25, p. 171에서 재인용.
  69. 홍희 역 (2007). 중국탈의 역사. 서울: 동문선, p.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