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olicies and Strategies for Fostering Traditional Markets - Focused on Improving Efficacy of Public Markets Development-

전통시장 선진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공설시장을 중심으로 -

  • Kim, Su-Am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
  • HwangBo, Yun (The Graduate School of Global Entrepreneurship at Hoseo University)
  • 김수암 (시장경영진흥원 마케팅지원팀) ;
  • 황보윤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With the liberalization of distribution services industry since 1996 as well as changes in customers' appetite to spend and consumer behaviors, new forms of distribution services have mushroomed such as superstores and SSM(Super Supermarket), online shopping, TV shopping channels. On the contrary, traditional markets have sunk into a swamp of stagnation. As this stage of stagnation of markets negatively affects tradespeople's employment, livings, and local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ducted policies to support improvement of market facilities and management since 2004. However, the government has separated facility improvement from management improvement. As of June 2008, there are 1,550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and among these there are 388 public markets which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and managed. Public markets have possibilities to be developed as successful models of market revitalization since they can get all-expenses-paid supports for facility improvement, control of merchandise assortment, educational program for merchants. Such successful (strategic hub) markets could become the benchmark for other neighboring markets and tradespeople which could lead other successful cases. In order to produce such effects, the market should have optimized facilities, merchandise and services, co-marketing strategies with nearby markets, group purchase strategies. The hub market could play a critical role in distribution of local goods and developing high value products.

전통시장은 2008.6월 현재 전국에 1,500개가 있으나, 1996년 유통시장 개방 이후 대형마트, SSM 등에 밀려 전통시장은 위축되어 왔다. 2002년 이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막대한 예산을 들여 시설현대화 및 경영현대화를 지원하고 있으나 성과가 그리 크지 않다. 그 요인으로는 전통시장 지원제도와 지원방식, 낙후된 시설, 다양하지 못한 상품, 고령상인의 주먹구구식 경영과 부족한 서비스 등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지원성과 제고를 위해 공설시장을 전국 전통시장의 활성화 모델로서, 그리고 지역별 거점시장으로서 활용하는 방안 연구에 그 목적을 두었다. 전통시장 중 388개 달하는 공설시장은 주로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것으로 일반시장과 달리 시설, 상품, 서비스 등을 상권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설시장에 전문 인력을 투입해 시장 활성화 모델 겸 인근 전통시장과 연합하여 공동마케팅, 공동구매 등을할 수 있는 거점시장으로 만들 경우 지원성과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공설시장의 지원제도, 거점시장으로서 전환에 국한된 것이며, 상품구색, 서비스 등의 자세한 활성화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