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ervious Surface as a Thematic Parameter of Analysis for Childhood Asthma Hospitalizations : Spatio-temporal Approaches

소아천식 유병율 분포의 분석변수로서 불투수면 : 시공간적 접근

  • Um, Jung-Sup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10.11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impervious surface was frequently employed as a proxy of the total environmental burden in the urban area. The impervious surface was extracted from a satellite image and the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database for childhood asthma hospitalizations was generated for a total of 62,136 children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of South Korea. Children living in an impervious environment do result in almost twice as many hospitalizations (26.58%) for asthma, as compared to the sub-urban pervious living (15.82%). Furthermore, the risk zones with persistently high hospitalizations for three years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over the impervious sub-district alone. The impervious zone showed a small inter-year variation of hospitalizations (r: 0.937) while the sub-urban pervious fringe was found to display a yearly variation(r: 0.371). The strong temporal autocorrelation means that the impervious areas have frequent long-lived hospitalizations for asthma, thus children living in impervious areas were likely to have had more chronic asthma attacks than those living in pervious areas. Thes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an impervious surface as thematic parameter of analysis is a crucial explanatory variable for asthma hospitalizations and its longer persistence among children.

불투수면은 물, 공기, 자연 생태계 등 전체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도시의 총체적인 환경 질을 대표하는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도시를 대표하는 토지이용으로서 불투수면이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되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아천식의 유병률에 대한 GIS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었다. 불투수 환경에 거주하는 아동들이 26.58%의 천식 유병률을 보여주어 투수환경 거주 아동의15.82%에 비해 거의 2배에 가까운 천식환자가 확인되었다. 3년 동안 계속해서 천식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한 환자수가 특별히 높은 위험지역은 불투수 환경에 노출된 행정동에서만 관찰되었다. 투수환경에 위치한 지역의 연도별 천식환자수의 변동폭에 대한 상관계수가 0.371이지만, 불투수면에 위치한 지역은 0.937로 나타나 불투수면에 위치한 지역은 지속적으로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즉 불투수면에 노출된 환경에 위치한 지역은 투수환경에 입지한 지역보다 장기간에 걸쳐 만성 천식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불투수면이 소아천식의 발생이나 만성소아천식의 유병률의 분석단위지역으로 결정적으로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