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der Fauna of Mt. Gajisan in Gyeongsangnam-do, Korea

가지산의 거미상

  • Lee, Sue-Yeon (Entomology program, Depar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eung-Tae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Jong-Kook (Entomology program, Depar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o, Jeong-Seon (Department of Invertebrat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 Lee, Joon-Ho (Entomology program, Depar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수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 김승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정종국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 유정선 (국립생물자원관 무척추동물과) ;
  • 이준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Received : 2010.03.28
  • Accepted : 2010.05.26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Spider fauna of Mt. Gajisan in Miryang, Gyeongsangnam-do was investigated from June to October. Collecting spiders was made by sweeping, beating, sieving and pitfall trapping. Total 66 species of 59 genera belonging to 20 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317 collected spiders. Species richness was high in Salticidae (12 species, 20.0%), Theridiidae (8 species, 12.1%), Linyphiidae (5 species, 7.6%), Araneidae, Corinnidae, Gnaphosiade and Thomisidae (4 species, 6.1% repectively), Tetragnathidae, Amaurobiidae and Philodromidae (3 species, 4.5% repectively). Zoogeographical species were 1 Pantropical species (1.5%), 4 Palearctic species (6.1%) and 3 Korean endemic species (4.5%). This result will be a valuable monitoring data in comparative study of mountain spiders.

경상남도 밀양 소재 가지산도립공원에서 채집한 317개체의 거미류는 20과 59속 66종으로 동정되었다. 종지수(species richness)는 깡충거미과 12종(20.0%), 꼬마거미과 8종(12.1%), 접시거미과 5종(7.6%), 왕거미과, 코리나거미과, 수리거미과 및 게거미과가 각 4종(6.1%), 갈거미과, 비탈거미과 및 새우게거미과가 각 3종(4.5%)의 순이었다. 동물지리구에 따른 종은 범열대종 1종(1.5%), 구북구종 4종(6.1%) 및 한국고유종은 3종(4.5%)이었으며 향후 산지에서의 생물상 및 생물자원의 분포 및 장기 모니터링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필. 1985. 운길산의 거미상.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1:43-50.
  2. 김주필. 1998. 서울 남산의 지표층의 거미상.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14:31-35.
  3. 김주필, 남궁준, 전정란. 1987. 한라산 거미의 수직분포에 관하여.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3:117-127.
  4. 김주필, 남궁준, 김온식, 전정란. 1988. 계룡산의 거미상.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4:137-151.
  5. 김주필, 유재홍. 1986. 속리산의 거미상.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2:41-72.
  6. 김주필, 유정선. 1996. 예봉산의 거미상. 한국토양동물학회지. 1:110-119.
  7. 남궁준. 1972. 덕유산의 거미. 한국자연보존연구회 조사보고서. 5/6:129-134.
  8. 남궁준. 1980. 조령일대의 거미상. 한국곤충학회지. 10:33-42.
  9. 남궁준. 1986. 보은∙속리상의 거미상. 자연보존. 53:30-40.
  10. 남궁준. 1996. 덕유산의 거미. 설천 백남극교수 정년퇴임 기념문집. pp. 108-115.
  11. 남궁준. 2003. 한국의거미(2판). 교학사, 서울 648 pp.
  12. 남궁준, 백남극. 1973. 춘천지방의 거미상.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2:131-137.
  13. 남궁준, 윤경일. 1975. 감악산의 거미상.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4:37-42.
  14. 남궁준, 윤경일. 1976. 치악산의 거미상. 자연보존. 12:12-20.
  15. 남궁준, 윤경일. 1980. 설악산의 거미상. 한국곤충학회지. 10: 19-28.
  16. 남궁준, 백남극, 이명철. 1988. 강원도 민통선 근방의 거미류.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4:15-34.
  17. 남궁준, 백운하, 윤경일. 1972. 지리산의 거미상.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1:91-99.
  18. 백갑용. 1942. 智􂦸山大源寺の蜘蛛. Acta Arachnol., 2:80-81.
  19. 백갑용. 1962. 韓國小白山の蜘蛛. Atypus, 26/27:74-78.
  20. 백갑용. 1976. 불영사계곡의 지주류 및 다족류상. 불영사계곡종합학술조사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0:82-90.
  21. 백갑용. 1978. 한국동식물도감 제21권 동물편(거미류). 문교부, 서울. 548pp.
  22. 백갑용. 1979a. 청하 보경사계곡의 거미상. 경북대학교 교육연구지. 21:131-147.
  23. 백갑용. 1979b. 팔공산의 거미상. 승남 이중희교수 회갑기념 수필 및 논문집. 161-217pp.
  24. 백갑용. 1979c. 황학산의 거미상.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69-285.
  25. 백갑용. 1980. 금오산의 거미상. 금오산 자연자원보고서, 경상북도청. pp. 43-53.
  26. 백운하, 우건석. 1970. 지리산의 거미. 한국식물보호학회지. 9:103-104.
  27. 이준호, 강방훈, 박홍현, 남궁준, 김승태. 2000. 점봉산의 거미상. 한국토양동물학회지. 5:21-32.
  28. 이해풍, 이건형. 1987.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거미류의 종다양도 및 계절적 발생소장에 관한 연구.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3:61-68.
  29. 임문순, 김승태. 1999. 경기 무갑산의 거미상. 한국생물상연구지. 4:275-286.
  30. 임문순, 김승태, 양계진. 1998. 운일암.반일암의 거미상. 중부대학교 농업생명자원과학연구논문집. 6:112-117.
  31. 임문순, 김승태, 양계진. 1999. 명지산의 거미상. 중부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7:61-68.
  32. 조봉상, 유정선, 김영진, 정종우, 김주필. 2005. 오대산의 거미상. 한국거미연구소 연구보고서. 21:36-62.
  33. Chikuni Y. 2008. Pictorial Encyclopedia of Spiders in Japan. Kaisei-sha Publ. Co., Tokyo, 310 pp.
  34. Horvath R, T Magura and C Szinetar. 2001. Effects of emission load on spiders living on black pine.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0:1531-1542. https://doi.org/10.1023/A:1011819427941
  35. Jeanneret P, B Schupbach, L Pfiffner and T Walter. 2003. Arthropod reaction to landscape and habitat features in agricultural landscapes. Landsc. Ecol. 18:253-263. https://doi.org/10.1023/A:1024496712579
  36. Korner C. 2004. Mountain Biodiversity, Its Causes and Function. Ambio Special report 13:11-17.
  37. Namkung J, JS Yoo, SY Lee, JH Lee, WK Paek and ST Kim, Bibliographic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Arachnida: Araneae) ver.2010. Korean Nature 2:191-285.
  38. Ono H. 2009. The Spiders of Japan with keys to the families and genera and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Kanagawa, xvi+739 pp.
  39. Paoletti MG and M Hassall. 1999. Woodlice (Isopoda: Oniscidea): their potential for assessing sustainability and use as bioindicators. Agri. Ecosys. Environ. 74:157-165. https://doi.org/10.1016/S0167-8809(99)00035-3
  40. Platnick NI. 2010. The world spider catalog, version 10.5.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online at http:// research.amnh.org/entomology/spiders/catalog/index.html.
  41. Riecken U. 1999. Effects of short-term sampling on ecological characteriztion and evaluation of spigeic spider communities and their habitats for site assessment studies. J. Arachnol. 27:189-195.
  42. Willett TR. 2001. Spiders and other arthropods as indicators in old-growth versus logged redwood stands. Restor. Ecol. 9: 410-420. https://doi.org/10.1046/j.1526-100X.2001.9401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