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y and Damage Index of Decrepit Concrete Materials

노후 콘크리트 재료의 물성 및 손상도에 관한 연구

  • 송정언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 박훈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 김승곤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Received : 2010.12.15
  • Accepted : 2010.12.2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Building demolition and blasting work in urban areas has a possibility which has an effect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nearby structures. In this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ecrepit concrete materials were estimated by Schmidt rebound test and XRD phase analysis. The damage index of the concrete materials was calculated by measured P-wave velocities. It was revealed that the constituents of the concrete materials affec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damage index decreases with increasing compressive strength and decreasing impact energy.

도심지에서의 건물해체 및 발파공사로 노후된 인접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 콘크리트 재료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반발경도에 의한 압축강도와 X선 회절 및 상 분석에 의한 성분 함량으로 상관성을 비교하였고, 충격 에너지에 의한 손상도 평가를 위해 측정된 탄성파속도 값으로 손상도를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반발경도에 의한 압축강도와 재료의 성분 함량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탄성파속도 값으로 산출된 손상도는 압축강도가 큰 재료일수록 작게 나타났고, 충격력이 작을수록 작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웅, 1992, 실존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추정에 관하여(I), 대한건축학회지, Vol. 36, No. 1, pp. 112-118.
  2. 기술표준원, 2008, 한국산업규격 KS F2730: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방법,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pp. 1-13.
  3. 김지연, 임홍철, 2001, 지반진동으로 인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도 추정, 대한건축학회지, Vol. 21, No. 2, pp. 225-228.
  4. 송정언, 박훈, 김승곤, 2009, 충격 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재료의 손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화약.발파, Vol. 27, No. 2, pp. 26-32.
  5. 이규동, 임홍철, 임병호, 2006, 노후아파트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 6, No. 1, pp. 155-158.
  6. 이상곤, 강추원, 장호민, 류복현, 김장원, 송하림, 김승은, 2010, 발파하중 및 비석의 충격에 의한 광주의 지반진동의 예측 연구, 화약.발파, Vol. 28, No. 1, pp. 1-10.
  7. 이진용, 박윤제, 이채규, 2008, 콘크리트구조물 유지관리, 구미서관, 서울, pp. 9-27.
  8. 입정방부, 1997, 콘크리트구조물의 비파괴검사, 과학기술, 서울, pp. 3-91.
  9. 천영수, 박지영, 2000, 진동측정을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추정기법, 한국강구조학회지, Vol. 12, No. 4, pp. 220-227.
  10. Kim, D.S and M.K. McCarter, 1998, Quantitative Assessment of Extrinsic Damage in Rock Materials, Rock Mech. Rock Engng., Vol. 31, No. 1, pp. 43-62. https://doi.org/10.1007/s00603005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