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백의총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의 과학적 보존처리와 복원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of the Monument for Jo Heon and the Soldiers in Chilbaeguichong (Chilbaeguichong Jungbongjoheonseonsaengilgunsunuibi)

  • 이주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최용석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 오정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김재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Lee, Joo-Wan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Myeong-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i, Yong-Seok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Oh, Jeong-Hyeon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Jae-Hwa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a-Du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0.05.25
  • 심사 : 2010.06.04
  • 발행 : 2010.06.20

초록

이 연구는 약 2년에 걸친 칠백의총(사적 제105호)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의 보존처리와 복원에 대한 것이다. 이 비는 일제시대(1940년)에 폭파되는 수난을 겪은 후 1971년에 복원되었으나 형태왜곡, 이질감, 구조적 안정성 등의 다양한 문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비의 원형을 복원하고자 다양한 과학적 연구와 함께 보존처리 및 복원이 이루어졌다. 특히 유실된 비좌를 복원 제작하고 이수와 비신을 다시 한 몸체로 접합하였으며, 이수 결실부위는 산지해석을 통해 신석으로 대체한 후 복원안을 수립하여 원형의 모습을 재현하였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of the monument for Jo Heon and the Soldiers in Chilbaeguichong. The monument has been ruined by bombing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1940) and restored in 1971. Nevertheless, it still showed serious problems such as loss of original form, structural instability, and unnatural appearance. In order to improve its conservation state, the stele basement which was lost by bombing was restored and combined with body and top stones. The broken part of the top stone was also restored with new material through provenance interpre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사덕, 김순관, 김창석, 홍정기, 강대일, 이명희, "석조문화재 에폭시수지 개발 시험연구". 보존과학연구, 20, p139-155, (1999).
  2. 엄두성, 김사덕, 홍정기, 강대일, 이명희, "석조문화재 발수경화제 시험연구(II)". 보존과학연구, 22, p133-154, (2001).
  3. Costanza Miliani, Melanie L., Velo-Simpson and George W. Scherer, "Particle modified consolidants : A study on the effect of particles on sol-gel properties and consolidation effectivenes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8, p1-6, (2007). https://doi.org/10.1016/j.culher.2006.10.002
  4. 김은경, 손승환, 원종옥, 김정진, 김사덕, "알콕시 실란계 석재 강화제의 화강암 점착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23, p1-10. (2008).
  5. 한민수, 이장존, 전병규, 송치영, 김사덕, "경주 남산 화강암을 대상으로 에틸실리케이트를 이용한 강화 처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 한국광물학회지, 21, p183-192, (2008).
  6. 김다람, 도진영,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에폭시수지 물성에 미치는 탈크 함량의 영향". 보존과학회지, 25, p77-86, (2009).
  7. 이주완, 함철희, 김사덕, 이찬희, "습포제를 이용한 석조문화재의 페인트 오염물 제거기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25, p421-430, (2009).
  8. 송치영, 한민수, 이장존, 전병규,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 현황 조사". 보존과학연구, 29, p164-182, (2008).
  9.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중봉조헌선생 일군순의비 보존". 국립문화재연구소, p14-17, (2010).
  10. S. Ishihara,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ce Geology, 48, p219-224, (1998). https://doi.org/10.1111/j.1751-3928.1998.tb00019.x
  11. 좌용주, 김건기, 고석배, 김종선,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암석학회지, 15, p128-138, (2006).
  12. 이찬희, 김영택, 이명성,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183-196, (2007).
  13. 이찬희, 이정은, 신은정, 김사덕, "경천사십층석탑의 암석학적 특성과 풍화훼손도". 지질학회지, 44, p765-779, (2009).
  14. Uchida, E., Ogawa, Y., and Nakagawa, T., "The stone materials of the Angkor monuments, Cambodia : th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the orientation of the bedding along of the sandstone". Journal of Mineralogy, Petrology and Economic Geology, 93, p411-426, (1998). https://doi.org/10.2465/ganko.93.411
  15. Uchida, E., Ogawa, Y., Maeda, N. and Nakagawa, T., "Deterioration of stone materials in the Angkor monuments, Cambodia". Engineering Geology, 55, p101-112, (1999).
  16. Ward, S.H., "Gamma-ray spectrometry in geological mapping and uranium exploration". In Skinner, B. J. (ed.), Econ. Geol., Seventy-Fifth Anniversary Volume, p1905-1980.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