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andmothers' Caregiving Satisfaction of Raising Grandchildren and the Related Variables

조모의 손자녀 돌봄만족과 관련변인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취업모가정의 동거조모와 비동거조모의 비교-

  • Received : 2009.10.12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grandmothers' satisfaction of caring for working mothers' children and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with regard to living arrange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5 grandmothers who have been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for more than 6 month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t-test, $x^2$-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er in grandmothers who were living with their children than those who were not.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grandmothers living with their children were economic status, extent of care giving activities, and social support, wherein social support prov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the case of those not living with their children,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motive and social support, motive being more influential. This result indicates that affecting variables differ by the grandmothers' living arrangements, and thus the strategy to enhance their care giving satisfaction should differ as well, based on the findings.

Keywords

References

  1.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3). 농촌 여성노인가구의 손자녀 양육 실태와 정책과제.
  2. 권인수. (2000).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3.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4. 김문정. (2006).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부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6), 914-923.
  5. 김미영 (2001).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취업모를 자녀로 둔 조모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혜, 김혜선. (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4(3),153-170.
  7. 김우영. (2008). 기혼여성의 맞벌이 결정요인 분석. 금융경제연구.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8. 김승용, 정미경. (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9. 김연수. (2006).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3), 371-398.
  10.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지역 손자녀를 전담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8(여름), 341-378.
  11. 박경애. (2007). 사회적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12. 박화윤, 이영숙. (1999). 유아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21-41.
  13.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14.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1), 67-94.
  15. 백경숙, 김영란. (2006). 손자녀양육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3), 109-128.
  16. 보육문제 이렇게 해결을. (2009, 3. 14). 서울신문. p. 21.
  17. 서경현, 김영숙. (2003).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8(1), 113-131.
  18. 신화경. (2003). 예비여성노인의 노후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4), 31-38.
  19. 오진아. (2005). 저출산 고령화사회재고에 따른 손자녀를 돌보는 여성노인의 삶의 질 구조모형. 태평양 학술문화재단 보고서, 137-196.
  20. 이미숙, 조병은, 강란혜. (2004). 학동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 수행. 대한가정학회지, 42(4), 69-84.
  21. 이성용. (2006). 가족주의와 효. 한국인구학, 29(2), 215-240.
  22. 이영자. (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정미경. (2006). 손자녀 돌봄노동에 대한 취업모와 조모의 경제적 지원인식과 향후 출산 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년 춘계학술대회, 265-292.
  24. 정순돌. (2003). 저소득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11(1), 59-79.
  25. 조병은, 이미숙, 강란혜, 矢富直美 前原武子. (2002). 한국과 일본 취업모 가정의 조모 역할과 조모와 손자녀의 심리적복지감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1(3), 213-229.
  26. 최해경. (2002). 저소득층 조손가족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3), 207-22.
  27. 통계청. (2005). 2005년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8. 통계청. (2008). 2008년사회통계조사.
  29. 한경혜, 윤순덕. (2001). 자녀와의 동 별거가 농촌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2), 163-178.
  30. 한경혜, 주지현, 이정화. (2008).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한국노년학, 28(4), 1147-1164.
  31. 한혜자, 류창희, 이영세. (2001). 조부모가 제공하는 도움과 이에 따른 만족도. 노인복지연구, 11(봄), 195-211.
  32. 황혜정. (2003).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과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12), 27-38.
  33. Bowers, B. F., & Myers, B. J.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https://doi.org/10.2307/585641
  34. Dolbin-MacNab, M. L. (2006). Just like raising your own? Grand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Family Relations, 55(4), 564-575.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6.00426.x
  35. Goodman, C. C. (2006).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The Vulnerability of Advancing Age. New York: Springer Pub. Co.
  36. Orb, A., & Davey, M. (2005). Grandparents parenting their grandchildren.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4(3), 162-168. https://doi.org/10.1111/j.1741-6612.2005.00114.x
  37. Oburu, P. O. (2005). Caregiving stress and adjustment problems of Kenyan orphans raised by grandmothe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1), 199-210. https://doi.org/10.1002/icd.388
  38. Thomas, J. L. (1986).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randparenthood. Journal of Gerontology, 41(3), 417-423. https://doi.org/10.1093/geronj/41.3.417

Cited by

  1. A Study on Grandmothers' Subjectivity regarding Grandchild Care: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vol.23, pp.2,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2.205
  2. Effects of Grandparenting Roles and Generativity on Depression among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vol.26, pp.2,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15.26.2.387
  3. Current Situation of Postmenopausal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vol.21, pp.2, 2015, https://doi.org/10.6118/jmm.2015.2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