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3). 농촌 여성노인가구의 손자녀 양육 실태와 정책과제.
- 권인수. (2000).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 김문정. (2006).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부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6), 914-923.
- 김미영 (2001).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취업모를 자녀로 둔 조모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혜, 김혜선. (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4(3),153-170.
- 김우영. (2008). 기혼여성의 맞벌이 결정요인 분석. 금융경제연구.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 김승용, 정미경. (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 김연수. (2006).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3), 371-398.
-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지역 손자녀를 전담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8(여름), 341-378.
- 박경애. (2007). 사회적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 박화윤, 이영숙. (1999). 유아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9(2), 21-41.
-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1), 67-94.
- 백경숙, 김영란. (2006). 손자녀양육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3), 109-128.
- 보육문제 이렇게 해결을. (2009, 3. 14). 서울신문. p. 21.
- 서경현, 김영숙. (2003).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8(1), 113-131.
- 신화경. (2003). 예비여성노인의 노후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4), 31-38.
- 오진아. (2005). 저출산 고령화사회재고에 따른 손자녀를 돌보는 여성노인의 삶의 질 구조모형. 태평양 학술문화재단 보고서, 137-196.
- 이미숙, 조병은, 강란혜. (2004). 학동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 수행. 대한가정학회지, 42(4), 69-84.
- 이성용. (2006). 가족주의와 효. 한국인구학, 29(2), 215-240.
- 이영자. (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미경. (2006). 손자녀 돌봄노동에 대한 취업모와 조모의 경제적 지원인식과 향후 출산 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년 춘계학술대회, 265-292.
- 정순돌. (2003). 저소득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11(1), 59-79.
- 조병은, 이미숙, 강란혜, 矢富直美 前原武子. (2002). 한국과 일본 취업모 가정의 조모 역할과 조모와 손자녀의 심리적복지감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1(3), 213-229.
- 최해경. (2002). 저소득층 조손가족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3), 207-22.
- 통계청. (2005). 2005년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 통계청. (2008). 2008년사회통계조사.
- 한경혜, 윤순덕. (2001). 자녀와의 동 별거가 농촌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2), 163-178.
- 한경혜, 주지현, 이정화. (2008).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한국노년학, 28(4), 1147-1164.
- 한혜자, 류창희, 이영세. (2001). 조부모가 제공하는 도움과 이에 따른 만족도. 노인복지연구, 11(봄), 195-211.
- 황혜정. (2003).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과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12), 27-38.
- Bowers, B. F., & Myers, B. J.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https://doi.org/10.2307/585641
- Dolbin-MacNab, M. L. (2006). Just like raising your own? Grand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Family Relations, 55(4), 564-575.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6.00426.x
- Goodman, C. C. (2006).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The Vulnerability of Advancing Age. New York: Springer Pub. Co.
- Orb, A., & Davey, M. (2005). Grandparents parenting their grandchildren.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4(3), 162-168. https://doi.org/10.1111/j.1741-6612.2005.00114.x
- Oburu, P. O. (2005). Caregiving stress and adjustment problems of Kenyan orphans raised by grandmothe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1), 199-210. https://doi.org/10.1002/icd.388
- Thomas, J. L. (1986).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randparenthood. Journal of Gerontology, 41(3), 417-423. https://doi.org/10.1093/geronj/41.3.417
Cited by
- A Study on Grandmothers' Subjectivity regarding Grandchild Care: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vol.23, pp.2,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2.205
- Effects of Grandparenting Roles and Generativity on Depression among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vol.26, pp.2,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15.26.2.387
- Current Situation of Postmenopausal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vol.21, pp.2, 2015, https://doi.org/10.6118/jmm.2015.2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