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sic Research for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 of Traditional Korean Dang'ui Costumes -A Focus on Issues Occurring in the Course of a 3D Virtual Presentation that Uses the Qualoth for Maya Program-

당의의 3차원 시뮬레이션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마야 퀼로스(Qualoth)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통복식의 3차원 재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Kim, Min-K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ung-Lim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Nam, Yu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민경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 최영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남윤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09.28
  • Accepted : 2010.11.16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a traditional costume revival and digital exhibi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3D virtual clothing modeling data in order to preserve and record a disappearing costume heritage to realize it as a social education tool through the newly emerging technology of 3D virtual clothing. A 3D revival of costumes worn by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3D animation and simulation technology of Maya 2011 (Autodesk, Inc.) and Qualoth (FX Gear, Inc.). The simulation shows the possibility of a 3D revival and digital exhibition of costume heritage. However, further technology support to analyze and realize the composition and design is still necessary to develop the digital contents of traditional garment culture that includes skirt pleats, petticoat silhouettes, that exaggerates the skirts and knots of traditional upper garments (Jeogori). Further studies on design attributes of historic costumes and the upgrading of 3D simulation software are required to realize 3D virtual cloth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s will be revived as a cultural content in the digital era as a result of outstanding issues detected by this study.

Keywords

References

  1. 권순관. (2009). 역사 박물관에서의 디지털 매체적용에 관한 고찰: 예천 충효관의 전시계획안을 중심으로, 정보디자인학연구, 13(0), 13-22.
  2. 김숙진. (2009). 3D 캐릭터 가상 의상 제작을 위한 패턴 제작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 "Looks Tailor X"을 사례로. 대한가정학회지, 47(2),111-123.
  3. 남윤자, 이주현. (2008). Ubiquitous 환경과 가상착의 기술; 3차원 인체 형상과 가상착의. 패션정보와 기술, 5(0), 41-53.
  4. 백영자. (2001). 한국의 복식문화. 서울: 경춘사.
  5. 심연옥. (2006). 2,000 Years of Korean Textile Design. 서울: 삼화인쇄 출판사.
  6. 안명숙. (2004). 장흥임씨 출토의복 보수(補修)에 관한 연구-중요민속자료 112호 복식, 54(8), 27-34.
  7. 안명숙. (2007). 출토복식의 보존, 보수에 관한 연구. 복식, 57(3), 14-22.
  8. 안인회. (2009). 복식 전시물을 활용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국립민속박물관 고구려 전시물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1), 136-148.
  9. 안인희, 송지영. (2010). 학교연계교육을 위한 웹기반 복식박물관 구축.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1), 188-199.
  10. 양정은, 김숙진. (2006). 3D 의상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가상 모델의 착의 평가 연구: 퀄로스(QUALOTH)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7), 153-162.
  11. 유효선. (2008). 자수 및 직물 공예품의 보존처리. 복식, 58(5), 198-210.
  12. 이보란, 오수정, 남양희. (2004). 가상 캐릭터의 디지털 한복 모델링을 위한 지식기반 접근법. 정보처리학회논문집, 11(6), 683-690.
  13. 이주원. (2009). 한복구성학(개정판). 서울: 경춘사.
  14. 이향재. (2002). 디지털 시대의 문화컨텐츠와 아바타 캐릭터. 한국일러스트학회지, 10(0), 121-131.
  15. 지희승. (2009).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박물관의 전시방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최해율. (2008a). 고려 초중기 기녀의 고증복식 캐릭터 연구. 복식, 58(7), 151-163.
  17. 최해율 (2008b). 16세기 조선 기녀의 일반 연회(宴會) 규정복식 고증 디자인 연구-문화콘텐츠용 이미지 작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8), 1322-1331
  18. 최해율 (2009). 조선 초, 중기 양반부녀복식의 복요(服妹) 유행을 응용한 구체관절인형 고증의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9), 1386-1397.
  19. 황의숙, 윤양노, 조선희. (2009). 아름다운 한복 구성. 서울: 수학사.

Cited by

  1. Men's Work Clothes Jumper Pattern-making and Its Appearance Evaluation through 3-D Clothing Simulation vol.16, pp.1, 2012, https://doi.org/10.12940/jfb.2012.16.1.103
  2. A Study on Men's Wear Production Using Digital Clothing Program vol.17, pp.2,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4.17.2.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