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hange of the Gap in Dressed Blouses with Above-elbow Sleeves and Sleeveless According to Arm Movements

팔 동작에 따른 소매유무별 블라우스의 착의 공극량 변화

  • Received : 2010.08.05
  • Accepted : 2010.11.23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experiment is designed to create some useful data on the dressed shapes that contribute to simulating the adaptability of clothes. We studied the dressed shapes of blouse with above-elbow sleeves and sleeveless according to five types of arm movement (basic posture, reach forward 45, 90, and reach lateral 45, 90) in the stand-post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ressed shape through 3-D measurement Vivid 910 and to investigate the width, depth, area distribution and gap of the shape of blouses on the section map with a software program for 3-D shape analysis, Rapid Form 2004.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atio of depth per width in the stand-posture was lower than other arm movements and the reach lateral was higher than the reach forward. The gap of the upper body was a briefed 4 factor; front, front-side, back, and back-side. It was higher than the sleeveless with a change of the gap in the dressed blouse with above-elbow sleeves by arm movements per stand-posture. The divisional gap shows the adaptability of clothes according to the types of blouse and arm movements in the change of the ratio.

Keywords

References

  1. 구미란, 서미아. (2009) 재단각도에 따른 세미 플레어스커트의 외관 및 헴라인 드레이프 형상에 관한 연구-실제착의와 i-Designer의 가상 착의 시스템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7(3), 499-511.
  2. 김혜경, 석은영, 서추연. (2000). 3D Scanner를 이용한 인체 계측방법 및 플레어스커트의 착의 형태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895-906.
  3. 김혜경, 서추연, 석은영 (2001).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 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10),1707-1718.
  4. 도월희. (2008). 3차원 가상 의상 모델링 시스템에 의한 모터사이클 재킷의 착의 평가.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105-115.
  5. 박순지, 三吉滿智子. (2001). 3차원 인체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직물의 물성에 따른 한복치마의 입체형상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5(9),1571-1582.
  6. 서추연. (2002).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복 재킷의 패턴사이즈에 따른 착의 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390-401.
  7. 서추연, 석은영, 박순지. (2004). 패턴분석 및 착의 평가에 의한 기성복 청바지의 비교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7(3), 5-13.
  8. 손부현, 홍경희 (2005). 중년 비만 여성의 기존 재킷 패턴 특성에 따른 착시 효과 및 공극량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8), 1114-1124
  9. 심규남, 서정권, 이원자. (2000). 3차원 계측장치를 이용한 길 원형의 여유량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3), 239-245.
  10. 이명희. (2004). 개더스커트의 개더 구성방법에 따른 착의 공극량 변화. 한국생활과학회지,13(6), 959-966
  11. 이명희 (2006). 플레어스커트의 가상 착용 형상에 관한 연구-나르시스의 가상 착용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2), 27-35.
  12. 이명희., 松山容子. (2006). 팔 동작에 따른 소매유무별 블라우스 착의 형상의 3차원적 파악.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2), 209-213.
  13. 정희경, 이병희. (2005). 3차원 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개더스커트 형상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11), 1399-1409.
  14. 최영림, 김희은. (2004).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복 원형의 착의 공극량 비교-신문화식과 세꼴리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6), 749-755.
  15. 松山容子. (2001) 衣服製作の科. 東京: 建帛社.
  16. Lee, J. H., Nan, Y. J., Cui, M. H., Choi, K. M., & Choi, Y. L. (2007). Fit evaluation of 3D virtual garment. HCI International, 2007, LNCS 4559, 550-558.

Cited by

  1. A Study 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 Analysis using Virtual Clothing Simulation according to Raglan Sleeve Pattern Types vol.21, pp.2, 2012, https://doi.org/10.5934/KJHE.2012.21.2.299
  2. Evaluation of Armhole Lines of Blouses Using 3D Virtual Fitting and Human Subjects vol.25, pp.6, 2016, https://doi.org/10.5934/kjhe.2016.25.6.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