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학습콘텐츠 공간특성 분석과 디자인 방향 제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igital Learning Contents Space and Suggestion on Design Directions

  • 김미실 (조선대학교 디자인경영) ;
  • 문정민 (조선대학교 실내디자인과)
  • 투고 : 2010.10.31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0.12.31

초록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ve brought sharp changes to every sector such as society, culture, economy and education beca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number of classes has decreased, and some schools are closed or incorporated due to decrease of the population. Such phenomenon has brought changes to learning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space. A change called digital innovation is characterized by interactive communication centering on the internet network.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educational environment to be changed according to digital environment and to note how real learning space is chang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society in general presents two concepts of digital and contents, digitalized information. Such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new paradigm in education sector and a new space is created through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in learning space. This study analysed cases of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bibliographical examination and related bibliography including data from academic presentations and news release to present developed leaning space. To present healthy and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which can lead knowledge and information-based society in the future, the preface described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s and range of the study, and analysed transitional processes of society and culture, digital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space i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Finally the study identified trends and cases of research on learning space and suggested digital learning contents spac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명식, 디지털 환경에 의한 통섭의 건축, 건축에서의 통섭, 건축 1003호, 2009
  2. 정종원 외 6인, 미래형 교실의 유형별 표준 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RR, 2009. 11
  3. 홍윤기 외 3인, 지식정보화 시대의 창의적 능력 및 인력 양성 정책 개발, 경제인문 사회 연구회 인문정책연구 정책보고서-02, 2007
  4. 김진희, 통합형 소규모 초등학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02
  5. 신동국, 초등학교 학습공간의 유비쿼터스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교원대 석사논문, 2008
  6. 오영선, 초등학교 엑티비티공간의 구조와 규모에 관한 연구, 조선대 석사논문, 2008
  7. 이은진, 인간행태심리를 반영한 공간프로그래밍 체계화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논문, 2005
  8. 이경혜, 교육과정의 패러다임에 따른 초등학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4
  9. 정소윤, 교육용 가상세계의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10
  10. 최영태, 초등학교 시설의 복합화로 인한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 석사논문, 2007
  11. 김형준, U-Learning 환경을 위한 초등학교 교실 공간 모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1권 1호(통권37호), 2009. 3
  12. 박정은.박수빈, u-스쿨 디자인을 위한 학교시설 사용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3호 통권80호, 2010. 6
  13. 심학래.박영기,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규모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2005. 6
  14. 정은하.김개천,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감성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6호 통권77호, 2009. 12
  15. 최병관.박홍균,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대응한 초.중.고등학교의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16권 제2호 (통권 제69호), 2009. 3
  16. 홍석기.김상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오프라인 연계체험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 연구논문 통권 제77호 Vol. 21 No.3, 2007. 10
  17. http://kr.image.search.yahoo.com/images/view
  18.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1/17/2009111702045.html
  19.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view.html?cateid=100031&newsid=20100816110622771&p=akn
  20. http://www.dtbook.kr/main/main.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