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Focused on the Cases of the Province Gyeonggi-

경관계획내용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이상규 (충주대학교 토목공학부 도시공학)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Even though local governments are committed to the landscape management aim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urban and natural landscape, the results are not satisfactory since the landscape plan is performed through the "routine" process, on which the planning system is based. Many local governments had spent much in making their landscape plans, but these plans were evaluated not so much "useful" in the practical sens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hich aims to systematically readjust the existing landscape management system of Korea, is to analyse the landscape plans of the few local governments, which are categorized in two level - upper and low local government. The analysis of landscape plan is performed in terms of four factors: The composed structure, the objects of the plan, the effectiveness of the landscapeindicators and guidelines and the institutional system.

경관계획의 가장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는 것은 계획내용이 실제적으로 얼마나 적용가능한지의 여부이다. 물론, 경관계획의 위계는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 차원으로 대별되고, 이 위계에 맞는 각 자치정부의 조례 및 지침 등을 통해 실제적인 적용을 시도하고 있지만, 제도적인 문제나, 경관범주의 논의와 동시에 계획내용이 추상적 수준에서 얼마나 실제적 수준으로까지 서술되고 있는가가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경관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인 경관법이 현재 제정되어진 가운데, 이 연구는 광역차원의 경관계획과 시/군차원의 경관계획의 내용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경관법의 시행여부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경관계획이 효율적이고 실질적 의미가 있게 작성되도록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여 경관계획 관리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aaty, Tomas L,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 2005.
  2. 김한배, 도시경관계획의 작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28권 제6호, 2003.
  3. 김용수.박찬용,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 경향과 유형, 2006, 국토계획 Vol. 41 No. 5.
  4. 니시무라 유키오, 도시경관과 도시설계, 태림문화사, 2003.
  5. 대한주택공사, 경관법 제정을 위한 연구, 2006.
  6. 박용성, 의사결정론, 2001.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I, 1993.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II, 1994.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III, 1997.
  10. 서주환.양희승, AHP 기법을 활용한 경관평가법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Vol. 32, No.4, 2004.
  11. 용인시, 용인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2001.
  12.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 2002.
  13. 이상규, 경관계획의 효율적 작성과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7, pp40-44.
  14. 이성룡, 경기도 경관관리체계 구축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8, p82-83.
  15. 이인성, 경관법 제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경관 관리 방향, 광주전남비전21 제 45호, 2005.
  16. 이태열, 분석적 계층화(AHP)기번의 이해, 2006.
  17. 임승빈, 경관분석론, 1991.
  18. 임승빈, 조경이 만드는 도시, 1998.
  19. 정재희, 도시경관관리의 제도적 개선방안모색을 위한 해외사례 연구(1), 경남발전 제71호, 2004.
  20. 최봉문, 도시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도시경관관리 방안, 도시문제, 2005년 2월호.
  21. Parfect.M./Power. G., Planning for urban quality, 1997.
  22. Hilber.M. L./Ergez, A(Hrgb.)., Stadtidentitaet, 2004.
  23. Ste수fuehrer, A., Wohnstandortentscheidungen und staedtische Transformation, 2004.
  24. Bundesamt fuer Bauwesen und Raumordnung, Informationen zur Raumentwicklung, Heft 1/2. 2003.

Cited by

  1.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vol.104, pp.2, 2015, https://doi.org/10.14578/jkfs.2015.104.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