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ypology of Media-Public Sphere Relationships

공론장-미디어 관계의 유형화

  • Published : 2010.05.15

Abstract

The theoretical scope of the public sphere has been dramatically expanded as a result of new academic inquiries into the nature of the political and the public in contemporary societies. While appreciating the value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for understanding democratic roles of the media, scholars began to raise questions on Habermasians' exclusive focus on news and public affairs programs, arguing that various entertainment programs also can invoke political deliberation. Terms like affective public sphere, emotional public sphere, aesthetic public sphere, expressive public sphere were used to capture this new conception. To comprehe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ual expansion of the public sphere for media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typology of media-public sphere relationships. By using public-private and rational-emotional axes as two criteria for classification, we created four prototypes of the public sphere (i.e., political public sphere, populism, difference pluralism, and intimacy/privacy)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fter setting out media communication as a form of meta-public sphere that mediates and coordinates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he public sphere, we presented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s an exemplar meta-public sphe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of multiple social antagonisms and differences.

이성에 입각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하버마스의 공론장론은 숙의민주주의라는 민주주의의 새로운 이념형을 제시하면서 근대를 복원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이후 공론장론은 많은 비판을 받았고, 이에 대응해 반비판도 제기되면서 공론장론의 지평은 확대되어 왔다. 특히 공론장이 정치를 공적, 제도적 담론에 치우치게 함으로써 우리의 일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적, 감성적 측면을 배제하는 데 기여했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공론장론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는데, 감성적 공론장, 미학적 공론장, 표현적 공론장 등은 이러한 인식을 반영한 개념들이다. 이 글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이러한 공론장 논의를 분석적으로 해부하고 향후 이론적 발전을 위해 유형화를 시도했다. 이 글에서는 공/사적, 이성적/감성적 두 개의 기준을 사용해 기존의 공론장을 '정치적 공론장', '대중주의', '차이다원주의', '친밀/프라이버시' 등의 네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의 특징과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이들 서로 다른 유형의 공론장을 매개하고 조정하는 메타공론장 영역으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설정하고 그 가능성 및 함의를 제시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