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se Study on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about the Family Living Culture in Marriage Emigration Females - Focused on Mothers in a Day- Care Center in Seoul -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이해 및 적응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지역 어린이집 어머니를 대상으로-

  • 이애련 (경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복지과)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arriage migration females understand and adjust to the culture of family life in Korea. The study was the conducted by extensively interviewing one member from each of a total of 16 women's multicultural families at a daycare center area in Seoul between June 16, 2010 and July 28, 201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l interviewees were marriage migration females, in the range 20 to 50 years of age, and with middle educational backgrounds. They all had middle-level income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informants' responses, three major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of to the culture of family living: personal factors, familial support, and sociocultural support systems. Among the personal factors, the intimacy of the married couples was trouble major factor. An issue that tended to arise was that Korean husbands' traditional culture in terms of their way of thinking was often different from that of the wife's culture. However, husbands supported their wives' outside activities and friendships in order to help them adjust to the culture of family living. The husbands made an effort to understand their wives' original culture and national food, often visiting restaurants that served their wives' national cuisine. In terms of familial support,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marriage migration females were orienting the education of children to the mother's native language, cooking their national foods, and visiting the mother's nation with the children. Marriage migration females had the following requires: The teacher in the daycare center needed to be interested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ncourage self-pride in the marriage migration females' children. In terms of sociocultural support systems, marriage migration females are conscious of the indisposition and lack of consideration in Korean life.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and local provinces are concentrating attention on education for marriage migration females in terms of language, because learning the language can help these women to become accustomed to the rituals of Korean life. Marriage migration females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and adjust to Korean family living culture that involves the food culture for ceremonial occasions, folk plays, and places of historic interest. A matter of importance is Korean people's effort to understand and adjust to multicultural family with their distinctive cultures. Welfare policy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involves adopting supportive laws and action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원대학교

References

  1. 강기정, 정천석(2009).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정생활 적응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153-167.
  2. 강복정(2006). 국내 결혼이민자 가족의 문제점과 결혼이민자 가족지원센터 역활. 한국가정관리학회 결혼이민자 실무자 양성 워크숍 자료집.
  3. 고은주(2009).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폭력,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건강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 논문.
  4.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부산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도희, 이경은(2009).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경로분석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77-98.
  6. 김두섭, 이명진(2007). 국제결혼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과 결혼안정성. 한국인구학 30(3), 187-219.
  7. 김미령(2005). 북한이탈 주민들이 인지한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자원이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 95-123.
  8. 김상임(2004).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 3주년 심포지움. 이주여성인권센터.
  9. 김양희(2007). 남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양희, 김효민(2009). 가정생활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19.
  11. 김오남(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12. 김은정(1992). 결혼초기 주부의 역할갈등 및 갈등해결방법과 결혼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이선(2008).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과 소통경험을 통해 본 정신건강의 역동성.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 김정원, 이주영, 김경본(2009). 다문화가정 부모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2), 7-26.
  15. 김현숙(2010).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적응: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53-176.
  16. 김현재(2007). 베트남 여성의 한국으로의 결혼이민; 그 배경과 원인에 대한 고찰. 동아연구(52), 215-254.
  17. 김현정, 권성심(2008). 유아교사의 자아분화와 정서신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3), 213-239.
  18. 김혜진(2008). 다문화시대에 따른 가족윤리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19. 김화자, 윤종희(1991).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55-170.
  20. 김희주, 은성경(2007).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을 위한 대처전략에 관한 사례연구-필리핀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5, 33-66.
  21. 박경동(2007).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한국의 광주. 전남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22. 박재규(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 여성의 이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427-442.
  23. 박정윤(2007). 결혼이민자가족생활에 관한 사례연구: 건강한 가정 행복한 사회를 위한 비젼선포. 대한가정학회지 창립 60주년 기념 통합 포럼 및 기념자료집, 89.
  24. 보건복지부(2009). 혼인이혼 보도자료.
  25.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연구. 여성가족부 연구보고서.
  26. 송인자(1999). 개화기 여성교육론 연구. 숙명여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신유경, 장진경(2010).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 적응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109-122.
  28. 양선화(2004). 상담사례에서 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삶. 광주 전남지역 국제결혼한 이주여성실태보고 토론회. 광주여성의 전화 부설 가정폭력상담실자료집.
  29. 오윤자(2008). 여성결혼이민 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63-77.
  30. 유가효, 홍성희, 김성숙(2008). 결혼이민여성의 초기 적응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95-120.
  31. 윤형숙(2005).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29-339.
  32. 이규삼(2000). 국제결혼가정의 부부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무영(2009). 다문화가족 한국남성배우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4. 이미혜(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실제 비교.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수자(2004). 이주여성의 디아스포라. 국제성별분업. 타자와 섹슈얼리티. 한국사회학회보. 189- 219.
  36. 이여봉(2006). 가족 안의 사회. 사회 안의 가족. 서울 : 양서원, 331.
  37. 이영선(2008).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수도권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영세, 이춘아, 강영주, 김정아, 이순화 (2005). 여성결혼이민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초연구. 문화예술교육 05-14, 문화 관광부.
  39. 이정선(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경험과 시사점: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1(2). 217-237.
  40. 이진숙(2007).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21-42.
  41. 이혜정(2007). 외국인 며느리를 두고 있는 농촌노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호신(2000). 결혼생활만족에 관련된 부부의 상호작용 변인들.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장진경, 전종미, 신유경(2008).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가족의 적응성 저해요인 분석. 2008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47-65.
  44. 조선일보(2009. 8. 17). 베트남신부 남편도 아내나라를 알아야. 39면.
  45. 차성란(2009).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문화 통합의 지향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98.
  46. 채옥희. 송복희 (2009).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가정생활교육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111.
  47. 채옥희, 홍달아기, 송복희 (2009). 몽골 결혼이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적응사례, 한국가족자원경학회지 13(4), 171-192.
  48. 추현화, 박옥임, 김진희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 배우자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8 한국가정관리춘계학술대회논문집, 285-298.
  49. 최금해(2007).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2(1), 143-188.
  50. 최명선, 곽민정(2008). 한국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
  51. 최연실(1995). 청소년 자녀기 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최현미, 이혜경, 신은주, 최승희, 김연희, 송성실(2008). 다문화가족복지론.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편. 서울 : 양서원.
  53. 통계청(2008). 인구동태(혼인). www.nso.go.kr.
  54.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55. 홍기혜(2000). 중국조선족 여성과 한국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56. 홍달아기, 채옥희(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57. 홍달아기, 채옥희(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과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58. Baltals, Zuha, & Andrew, Tetoe(2000). Migration, Cultur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ing among Turkish-British married Couples. Ethnicity & Health 5(2), 173-180. https://doi.org/10.1080/713667445
  59.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Lead article).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1), 5-68.
  60. Berry. J. W. (2002). Psychology of acculturation: Understanding individuals moving between cluture, In R Brislin(ed.). Applied cross-clutural psychology, Newbury Park. CA: Sage. 232-253.
  61. Berry, J. W. (2005).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edited by Kevin, M. c. Parmela, B. O. & Gerardo, M. Washington. D, C.; Decade of Behavior.
  62. Garcia-Coll. C. & Szalcha. A. (2004).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The Multiple Contexts of Middle Childhood. The Future of Children 14(2), 81-97.
  63. Nielsen, M. R.(2002). Are all marriage the same?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class couples. University of Chicago.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64. Noonan. M. J. & McCormick. L. (2006).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atural environments: Methods & Procedures. Belmont, CA: Brooks. outer. & N. Landale (Eds.). Immigration and the family: Research and policy on U. S. Immigrant, 149-161.
  65. Johnson. L. C.(1989). Social Work Practice(3rd ed.). Massachusetts: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