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호, 김태완, 김문길(2008), 국민연금 미수급자 규모 추정과 지역가입자 관리개선 방향. 서울: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 강유진(2005).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지 16(4), 159-174.
- 기초노령연금 홈페이지. http://bop.mw.go.kr/front_main/index.jsp
- 김경화(2005). 중년층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의식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대한민국정부(2010).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새로마지플랜 2015.
- 류건식, 이봉주, 김동겸(2009). 사적연금 소득 대체율 수정에 의한 노후소득보장수준 평가. 보험학회지 83, 93-121.
-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0(3), 275-297.
-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년도 노인생활 실태조사-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 석재은(2005). 노령계층의 소득계층별 필요 소득수준 연구. 한국인구학회지 26(1), 79-113.
- 신하연(1997). 중년기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 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안종범, 전승훈(2005). 은퇴자가구의 적정 소득대체율. 한국경제연구 15, 5-33.
- 안현선. 김효민. 안진경. 김양희(2009). 중년기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 양세정(2010). 적자가계의 특성 및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135-159.
- 양세정, 이성림(2009). 노후 경제적 대비 여부에 따른 가계경제의 차이와 재무관리 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1-16.
- 여윤경(1999). 가계 은퇴자산의 충분성. 소비자학연구 10(4), 41-59.
- 여윤경, 김진호(2007). 한국가계의 은퇴자산 적정성 판단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금융연구 21(2), 1-30.
- 이선형(2000). 노인부부가계를 위한 노후 월평균 생계비 산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성림(2005a). 과소비. 부채가계의 가계 경제 구조 분석: 과소비. 부채가계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6(1), 73-95.
- 이성림(2005b). 사교육비 부담과 가계의 소비지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63-76.
- 이신영(2009). 도시 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사회과학논총 28(1), 205-224.
- 이지영, 최현자(2009).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215-230.
- 정재기(2007).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한국인구학회지 30(3), 157-178.
- 조추용, 송미영. 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 최정혜(2009).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9(2), 611-627.
- 충남여성정책개발원(2008). 충청남도 고령사회 맞춤형 복지 5개년 계획. 충청남도: 충남여성정책개발원.
- 최효미(2007). 노인가구의 소득원천. 노동리뷰 4월호, 69-80.
- 통계청(2005, 2007, 2008, 2009). 사회조사. 대전: 통계청. (2009년 이전은 사회통계조사)
- 통계청(2008). 장래인구추계. 대전: 통계청.
- 통계청(2009). 한국의 사회동향. 대전: 통계청.
- 통계청(2010). 2010 고령자통계. 대전: 통계청.
- 통계청(2010). 인구동향조사. 대전: 통계청.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4). 2004년도 노인 생활실태조사-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2009년 빈곤통계연보.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홍석태. 양해술(2009).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 287-299.
- 홍성희. 곽인숙(2006). 중년기 남녀 봉급 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 홍성희. 곽인숙(2007).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89-104.
- 황승일(2000).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 Anderson, M., Li, Y., Bechhofer, F., McCRONE, D., and Stewart, R.(2000). Sooner rather than later? younger and middle-aged adults preparing for retirement. Ageing and Society 20, 445-466. https://doi.org/10.1017/S0144686X99007837
- Attias-Donfut, C., Ogg, J., & Wolff, F. C.(2005). European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financial and time transfers. European. Journal of Ageing 2, 161-173. https://doi.org/10.1007/s10433-005-0008-7
- Joo, S.-H. & Pauwels, V. W.(2002). Factors affecting workers' retirement confidence: A gender perspective.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13(2), 1-10.
- Junk, V. W., Fox, L. K., Einerson, M. J. and Taff, L. K.(1997). Pre-retirees' perception of retirement incom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Education 8(2), 41-55.
- Lytton, R., Garman, E. & Porter, N.(1991). How to use financial ratios when advising clients.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2, 3-23.
- Malroutu, Y. L. & Xiao, J. J.(1995). Perceived adequacy of retirement income.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6, 17-24.
- Rigg, J. & Sefton, T(2004). Income dynamics and the life cycle. Journal of Social Policy 35, 41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