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의 규범적 방향 모색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Normative Orientation

  • 강혜경 (동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보육.가정상담학과)
  • Kang, Hye-Kyoung (Dept. of Child Care and Family Counseling, Dongeui University)
  • 투고 : 2010.10.01
  • 심사 : 2010.11.22
  • 발행 : 2010.11.30

초록

Multi-culturalization in our society may be the cause of many problems, but if appropriately dealt with, diversity brought on by multi-culturalization could resolve chronic abuses in education and create a new culture, thereby contributing greatly to nation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provide a normative orienta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March 2008 and September 2009.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ppropriate target of a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not be assimilation, but rather,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has greater adaptability, and the key lies in its respect for human rights, its strengthening of multi-cultural capacity, and its consideration for the minority by moving toward corporate multi-culturalism that aims for equality in results. Second, the first form of multi-cultural education emphasizes neutrality and argues that it is the best way to respect different cultures. This form of multi-cultural education emphasizes neutrality toward "sameness." In this context, sameness means equality of the rights of human beings. The other form of multi-cultural education emphasizes diversity and argues that it is the best way to respect different cultures. It focuses on the recognition of particularity. But it reveals its shortcomings when it excludes interaction not only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culture, but also between the insider and outsider of the culture and its social institutions. Thu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is suggested.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pure homogeneous nationalism must be destroyed, but nationalism needs to transform itself rather than be abolished in a globalized and multi-cultural society. Moreover, on behalf of pursuing open nationalism, the self-transformation of nationalism is advisable, in order to for it to overcome its antagonistic and exclusive natur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동의대학교

참고문헌

  1. 과학기술부(2009). 시. 도교육청별 다문화교육 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분석 보고서.
  2. 권순희(2008).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 모색-호주의 언어교육 정책 검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7, 224-251.
  3. 김영명(2002). 우리 눈으로 본 세계화와 민족주의. 서울 : 도서출판 오름.
  4. 김종석(1984). 미국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고찰. 미국학논문집 5, 35-60.
  5. 김지현(2008).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교육. 철학연구 106, 29-52.
  6. 박성혁,성상환,곽한영(2007).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 추진현황, 과제 및 성과분석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7. 법무부(2007. 8. 24). "체류외국인 100만명 돌파!" 보도자료.
  8. 서범석(2010). 다문화교육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탐색.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설동훈, 한건수, 이란주(2003). 국내거주 외국인노동자 아동의 인권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10.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2006).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정책 방안연구. 여성가족부.
  11. 손원제(1999). 교과서 '동성애 편견' 삭제. 한겨레. 1999. 12. 13.
  12. 양승태(2007). 똘레랑스, 차이성과 정체성, 민족 정체성, 그리고 21세기 한국의 민족주의. 정치사상연구 13, 53-78.
  13. 양영자(2008).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방향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오성배(2005). 국제결혼 가정자녀(Kosian)의 교육 환경과 문제. 교육비평 22, 186-213.
  15. 오성배, 강태중, 이기범(2008). 다문화가정학생 교육지원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16. 윤주이(2006. 8. 24). 캘리포니아, 친동성애교육 의무화되나. 크리스천투데이.
  17. 윤희원, 박윤경, 김경랑(2008). 인권관점에서 다문화교육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08년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 실태조사 용역보고서.
  18. 이승훈(2006). 일본에서 '재일한국인'으로 살아가기.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인식 30, 1/2, 77-101.
  19. 이재분, 강순원, 김혜원, 이해영, 서유미(2008).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 이종석(2006. 1. 14). 혼혈인, 그들도 한국인입니다<下>, 교육대책 마련 시급. 동아일보.
  21. 이지헌(2003). 교육의 철학적 차원. 서울 :교육과학사.
  22. 전경숙, 정기선, 이지혜(2007). 다문화 교육정책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청. (재)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3. 조영달, 박윤경, 이정우, 이경수(2007). 다문화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인식조사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4. 조영달, 윤희원, 박상철(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5. 조혜영, 이창호, 권순희, 서덕희, 이은하(2007).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 학생의 수용성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차윤경(2009). 세계화 시대, 선진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의미. 평생교육진흥원.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제2차 평생교육정책포럼 1-24. 서울 : 사학연금회관세미나실.
  2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미래 한국사회 다문화 역량강화를 위한 아동. 청소년중장기 정책방안 연구 I.
  28. 함세정(2006). 다문화교육의 규범적 방향탐색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Feinberg, Walter(1998). Common Schools/Uncommon Identity. Yale University Press.
  30. Kymlicka, W. (2006).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마르크스주의, 공동체주의, 시민권이론, 다문화주의, 페미니즘, 파주 : 동명사.
  31. Loon, Hendrick Willem van(2000). Tolerace. 김희숙. 정보라역(2000). 강릉 : 길.
  32. MacIntyre, Alasdair(1984). After Virtue. 이진우 역(1997). 서울 : 문예출판사.
  33. Rawls, John(1999). A Theory of Justice. 서울 : 이학사.
  34. Taylor, Charles(1994).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n Amy Gutmann(ed.) Multicultur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75.
  35. Young,Iris(1990). The Ideal of Communit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In Linda J.Nicholson(ed.)
  36. 네이버 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