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성신여자대학교
References
- 계선자, 이정우, 박미석, 김연화(2005). 성년례 프로그램 모형개발 및 성년례 참여자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6
- 김득중(1997). 실천생활예절. 서울 : 중화서원.
- 김순진(2003). 성년례의 활성화를 위한 모형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시덕(2009). 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 비교민속학 39, 69-96
- 김은희(2009). 성년례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연구. 원광대학교 동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경(2008). 전통 관례와 현대 성년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문종필(2007). 초등 사회과 관혼상제 관련내용 및 학생인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대순(1987). 조선시대 관례의 사적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사)한국가정생활개선진흥회(2003). 함께 가꾸는 가정문화 의미있는 성년례.
- 신상구(2010).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연구. 한민족문화연구 32, 69-99.
- 안혜숙, 주영애, 김인옥(2002).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 신정.
- 오환일, 김정신, 이행숙, 조희진(2002). 조선족 학생들의 집단 성년례에 대한 인식. 한국여성교양학회지 9, 5-26.
- 이동필(2004). 마산시 고교생들의 예절 및관혼상제 (사례) 인식에 대한 조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문주(2002). 성인식으로서의 관례의 구조와 의미분석. 유교사상연구 17.
- 이승원(2006). 한국 성년식의 교육적 의미. 진리논단 13, 257-274.
- 이정우, 김연화, 김경아(2000). 성년례 시연을 통해 본 성년례 모델 개발의 탐색적 연구-참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113-128.
- 이희재(2007). 유교가례의 변용과 창조적 계승. 유교사상연구 31, 25.
- 조희선, 이혜자, 이윤정(2002). 성년식의 정착을 위한 탐색적 연구-대학생의 필요성인지를 중심으로-. 생활과학 5, 255-268.
- 조희진, 김정신(1998). 집단성년례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5, 141-172.
- 최기호(1994). 인간성 회복을 위한 전통생활예절의 생활화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뉴시스(2010.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