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Practice of Coming-of-Age Ceremonies as a Family Event

가족행사로서의 성년례 정착을 위한 방안연구 - 어머니들의 성년례에 대한 인식과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

  • Ju, Young-Ae (Dept. of Living Culture & Consumer Science, Sungshin Woman's Univ.)
  • 주영애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03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f the practice of coming-of-age ceremonies as a family ev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321 mothers residing in Seoul,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5th, 2010 to June 25th, 201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17 computer program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n the future, coming-of-age ceremonies will be necessary in family event. 2. Education for mothers (specifically for mothers under the age of 30) opposed to coming-of-age ceremonies is necessary. 3. The contents for the education of coming-of-age ceremonies must include ceremony processes, alcohol consumption etiquette, and sex education. 4. Coming-of-age ceremonies, as family events, will be desirable to have on the 19th birthday. 5. Education of coming-of age ceremonies must be done in schools or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will especially be able to play a central role. 6. Education of coming-of-age ceremonies is necessary even from the popular media.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성신여자대학교

References

  1. 계선자, 이정우, 박미석, 김연화(2005). 성년례 프로그램 모형개발 및 성년례 참여자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6
  2. 김득중(1997). 실천생활예절. 서울 : 중화서원.
  3. 김순진(2003). 성년례의 활성화를 위한 모형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시덕(2009). 한국 일생의례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 비교민속학 39, 69-96
  5. 김은희(2009). 성년례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연구. 원광대학교 동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혜경(2008). 전통 관례와 현대 성년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문종필(2007). 초등 사회과 관혼상제 관련내용 및 학생인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대순(1987). 조선시대 관례의 사적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사)한국가정생활개선진흥회(2003). 함께 가꾸는 가정문화 의미있는 성년례.
  10. 신상구(2010).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연구. 한민족문화연구 32, 69-99.
  11. 안혜숙, 주영애, 김인옥(2002).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 신정.
  12. 오환일, 김정신, 이행숙, 조희진(2002). 조선족 학생들의 집단 성년례에 대한 인식. 한국여성교양학회지 9, 5-26.
  13. 이동필(2004). 마산시 고교생들의 예절 및관혼상제 (사례) 인식에 대한 조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문주(2002). 성인식으로서의 관례의 구조와 의미분석. 유교사상연구 17.
  15. 이승원(2006). 한국 성년식의 교육적 의미. 진리논단 13, 257-274.
  16. 이정우, 김연화, 김경아(2000). 성년례 시연을 통해 본 성년례 모델 개발의 탐색적 연구-참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113-128.
  17. 이희재(2007). 유교가례의 변용과 창조적 계승. 유교사상연구 31, 25.
  18. 조희선, 이혜자, 이윤정(2002). 성년식의 정착을 위한 탐색적 연구-대학생의 필요성인지를 중심으로-. 생활과학 5, 255-268.
  19. 조희진, 김정신(1998). 집단성년례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5, 141-172.
  20. 최기호(1994). 인간성 회복을 위한 전통생활예절의 생활화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뉴시스(2010.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