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arning Effect of Test that Worked Examples Used as Options

풀이 과정을 답지로 이용한 시험 방식의 학습 효과

  • Received : 2010.09.27
  • Accepted : 2010.12.2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proposes and examines a new type of multiple-choice math test. In this format, the options are the intermediate derivatives of the math problem solution process rather than the final answers. This idea originates from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worked-out examples. In these studies, it has been shown that students learn better when they were presented with worked-out examples than when presented with final answers by themselves. In line with these findings, we introduced the intermediate derivatives of the solution process as the options of multiple-choice items so that the test-taker will have a chance to examine the solution process. The test was implemented as a computerized test in which students can solve problems in a short answer format, and then pick a multiple-choice option which appears when request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multiple-choice options which were intermediate derivatives of the solution process, and the control group had the final answers as the options as in most multiple-choice tests. The participants wer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post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tests that use intermediate derivatives of the problem solution process as options can be used as learning tools in the classrooms. Finally,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을 위한 평가 도구로 풀이 과정을 답지로 이용한 시험 방식이 제안되었고, 그 효과가 검증되었다. 풀이된 예제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문제에 대한 단계적인 해결책인 풀이된 예제를 문제 사이에 제시할 경우, 문제만 풀 때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그러나 풀이된 예제의 단순한 제시는 학습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최근의 발견들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풀이된 예제를 더 적극적으로 탐구하게 하는 방법으로 풀이과정을 선다형의 답지로 제시하였다. 이 시험 방식은 컴퓨터화 시험으로 구현되었으며, 학생들이 컴퓨터에서 단답형으로 문제를 풀고 나서 답지를 요청하면 선다형 답지가 제시되었다. 이 때 실험 집단은 답지가 풀이 과정으로, 비교 집단은 전통적 선다형과 같이 최종 정답으로 구성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이 수행되었다. 사후 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가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다. 이 결과는 풀이 과정을 답지로 이용한 시험 방식이 교실현장에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