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Hyper-Reality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 Focused on Vogue Magazine since 2000 -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에 표현된 하이퍼 리얼리티 표현 연구 - 2000년도 이후 Vogue지를 중심으로 -

  • Yang, Sook-Hi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Yun, 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윤영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0.09.23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advent of various arts and remarkable development of mass media since 1980s accelerate fashion photographs' advancement. The expression of fashion through photographs can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ages, societies, cultures, traits of designers and techniques of photographers. In addition, that is the tool which contains economical role as a product and artistic role as photo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yprt-reality images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Hyper-reality means the reproduction which represents the reality of life more actually. Hyper-reality through photographs elevates reality of virtual things and creates the confused situation which haunt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reproduction. This study classifies the hyper-reality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into three groups by their external traits, ideal reality, collapse of reality, and restoration of reality. First, ideal reality is represented as harmony among fashion, characters, and space, causality of fashion with time and circumstances, positive will, and melting with nature. Second, collapse of reality is expressed as in harmony between fashion and situation, violence, fetishism and symbol of death. Third, restoration of reality is shown as recurrence to nature and images of utopia to express dignity of life.

Keywords

References

  1. 권정숙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탈중심화의 표현형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권 3호.
  2. 기호학연대 (2003).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서울: 문학과 경계사.
  3. 김동영 (2006). "현대회화의 탈중심주의 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병수 (2010). 하이퍼 리얼리티의 미학. 서울: 한국 미술평론가협회.
  5. 김우룡 (2006). 사진과 텍스트. 서울: 눈빛출판사.
  6. 넬슨 굿맨 (1968). 예술의 언어들. 김혜숙, 김혜련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 노버트 린튼 (1993). 20세기의 미술. 윤난지 역, 서울: 예경.
  8. 수잔 손탁 (1966). 사진에 관하여. 이재원 역. 서울: 도서출판 시울.
  9. 양숙희, 한수연 (2008), 패션과 영상.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0. 윤재성 (2009). "광고영상에서 하이퍼 리얼리티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용수 (2004). "보드리야르의 하이퍼 리얼리티 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정우 (1999). 시뮬라크의 시대. 서울: 거름.
  13. 이희정 (2007). "부티크 호텔에 나타나는 하이퍼 리얼리티 표현 특성"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은혁 (2007). "복식에 표현된 몸의 재현성과 비재현성: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바탕으로." 복식문화연구 15권 4호.
  15. 정세희 (2009). "현대패션에 나타난 탈중심화 현상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정형철 (2003). 하이퍼 텍스트 이론. 부산: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7. 제니퍼 크레이크 (2001). 패션의 얼굴. 정인희 외 역. 서울: 도서출판 푸른솔.
  18. 존 스토리 (2002).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박만준 역. 서울: 도서출판 경문사
  19. 존 퓰츠 (2000). 사진에 나타난 몸. 박주석 역. 서울: 예경.
  20. 하이브리드 컬쳐 연구소 편저 (2008). 하이브리드 컬쳐.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1. 허버트 리드 (2006). 예술의 의미. 임산 역. 서울: 에코리브르.
  22. Carter, Rita (2007). Multiplicity: The New Science of Personality, Identity and the Self. Boston: Little, Brown & Co.
  23. Eco, Umberto (1995). Hypereality. New York: Haverst Books.
  24. Landow, G. P. and P. Delany (1991). Hypermedia and Literary Studies. Cambridge, MA: The MIT Press.
  25. Levi, Pierre (2000). 지능의 테크놀로지: 정보화 시대의 사고와 미래. 강형식, 임기대 역. 서울: 철학과 현실사.
  26. Nielsen, Jakob (1990). Hypertext and Hypermedia. San Diego: Academic Press Professional.
  27. Norber to Angelitte and Alberto Oliva (2006). In Vogue. NY: Rizzoli.
  28. Peirce, Ch. S. (1931-1958). Collected Papers.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Vol. V.
  29. Talor, Brandon (2003).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리얼리즘." 현대미술비평총서 1. 김수기, 김진송 역. 서울: 시각과 언어.
  30. http://en.wikipedia.org
  31. http://encyber.com
  32. http://flickr.com
  33. http://naver.com
  34. http://www.wgs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