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between Industrial Managers and Engineering Faculties and the Way to Resolve This Difference

공과대학 교육에 대한 교수와 기업담당자의 인식차이 및 해소방안 연구 - 경원대학교를 중심으로 -

  • Yoo, In-Sang (Dep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Kyungwon Univ.)
  • 유인상 (경원대학교 화공생명학공학과)
  • Received : 2010.07.28
  • Accepted : 2010.12.0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difference of industrial managers and engineering faculties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and searched for a rational solution to resolve this perception differences. Both engineering faculties and industrial managers place strong emphasis on practical training, but the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ressing the issues on the graduates of engineering education have. This different perceptions are occurred since the industrial managers prefer "the instant(or ready-made) human resource type", the ones to put to work right away whereas professors prefer the ones with the strong basic knowledge, "the potential human resource type", who may in the long ru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We believe Finland Helsinki Engineering School's co-op course an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s Capstone Design Education are the good examples of nurturing "practical" human resource although both programs are conducted in very different imaginative ways.

본 연구는 기업담당자들과 교수들 사이에서 공대교육에 대해서 느끼는 인식차이를 조사하고,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인지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기업 담당자들과 교수들은 다 같이 실용인재 양성을 중시하면서도 공과대학 졸업생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기업 담당자들은 공대생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실용능력 부족을 들었으며, 교수들은 기본소양 부족을 들었다. 이런 인식 차이는 기업담당자들은 당장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즉석형 인재'를 요구하는데 반하여, 교수들은 장기적인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본이 튼튼한 '잠재형 인재'를 선호하는 시각차에서 상당부분 비롯된다. 핀란드 헬싱키 공과대학의 Co-op course, 펜스테이트의 캡스톤 디자인 교육은 서로 판이한 상상력이 동원되고 있는데도 실용인재 양성의 좋은 본보기를 보여준다. 근본적으로 기업담당자들과 교수들의 인식차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이 소통을 활성화하고, 현장실습 교육 등 실용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일 ․ 이의수 ․ 박진우(2005), 토목.화공.전자 분야의 공학교육에 대한 산업체 설문조사 분석, 공학교육연구, 8(3): 11-13.
  2. 박진원 ․ 황광진 ․ 조규남 ․ 백현덕(2007),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10 (1), 22-23, 32.
  3. 전국경제인엽합회(2002). 기업에서 본 한국 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4. 취업포털 인크루트(2010). 대학 교육 만족도
  5. 전자신문(2007). <창의적 공학교육이 국가미래다>(4) 유럽-미국 사례.
  6. 주간조선(2008.8.25). 대학교육, 이것이 문제다(2).
  7. 한겨레신문(2006.7.4), 취업자 10명 중 6명 "대학교육 도움 안 돼."
  8. Global Workshop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2010). John S. Lamancusa, Ph.D., P.E.(펜스테 이트 대학의 기계공학과 교수), Lueny Morell, M.S., P.E.(휼렛페카드 연구소의 전략 및 혁신부서 프로그램 매니저 발표. 서울산업대학교 공학교육거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