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SNS Farm Game Based on Smart Phone Platform

스마트폰 플랫폼 기반 SNS 농장경영게임의 공간성격분석

  • Lee, Young-Soo (Dept. of Digital Media Contents, Ewha Womens University)
  • 이영수 (이화여대 디지털미디어학부 영상콘텐츠)
  • Received : 2010.10.08
  • Accepted : 2010.11.03
  • Published : 2010.12.20

Abstract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farm game based on smart phone platform, this study analyzed how social network play experience connects with the space of farm game. The play experience of social network farm game based on smart phone platform is mainly composed of three modules for cultivating, placing environment, extending space. This study categorized space for external perspective space, internal perspective space, symbolic design space according to space experience theory and researched play experience in these spaces. In farm game players perceive space by fixed point of view, and make their own space a standard unit for reinterpreting and rearranging modules. In this process the space played subjective role not only background to bring co-work play is essential in social network game.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와 활발하게 연계되고 있는 스마트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농장경영 게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게임 내의 소셜 네트워크 플레이 경험이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보여지는 농장경영게임의 공간과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SNS 농장경영게임의 플레이 경험은 주로 세 개의 모듈, 정작 모듈, 환경 배치 모듈, 공간 확장 모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농장경영게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간경험이론을 바탕으로 외적 투시공간, 내부조망 공간, 상징적 기획 공간으로 나누어 각 공간에서 일어나는 플레이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농장경영게임에서 플레이어는 고정된 시정을 통해 공간을 인식하고, 모듈을 재해석하여 재배치하는 데 있어 자신의 공간을 소셜 네트워크의 기본단위로 삼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간은 단순한 배정이 아닌, 소셜 네트워크 게임에서 필수적인 협력 플레이를 일으키도록 하는 주체적 역할을 수행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오규환, 아이폰 어플리케이션 개발동향 AR기반 및 게임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한국게임학회 2009년 12월호
  2. 김선중, 온라인을 통한 실제 농장 경영 시스템 , 한국특허정보원, 2008
  3. Zaner,R.M(1971), 최경호 역, 신체의 현상학, 인간사랑, 1994
  4. Schulz C. N.(2002), 김광현 역, 실존․공간․ 건축, 산업도서출판공사, 2002
  5. Tuan, Yi-Fu, 구동희, 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서울: 대윤, 1999.
  6. Bachelard, Gaston, 곽광수 역, 공간의 시학, 민음사, 1990.
  7. 장일구, 서사공간과 소설의 역학, 전남대학교출판부, 2009.
  8. Stanzel, Franz K, 안삼환 역, 소설형식의 기본유형, 서울: 탐구당, 1982.
  9. Markus Friedl, 염태선 역, 온라인 게임 기획 & 인터랙티비티, 서울: 정보문화사, 2003
  10. 하동원, 사용자 시점에 준거한 디지털콘텐츠인식의 틀 연구, 한국게임학회, 2009 12월호
  11. 윤영인, 다사용자온라인게임 인터페이스의 내용분석연구, 이화여대 디지털미디어학부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