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age Analysis on the Style and Color for Baby Wear Brands

유아복 브랜드 스타일과 색채 이미지의 일관성과 조화에 관한 연구

  • 김복희 (신구대학 산업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0.08.24
  • Accepted : 2010.10.2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is is a follow-up study of "A study on the color image of baby's wear bran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style images and analyze the style and color images of 7 baby wear brands that suggests how their harmony and consistency identify their clothing images. In order to classify the style image, 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with 40 pieces of the style board of 7 brands and 20 baby wear images adjectives. The total 324 copies were used to survey students who majored in fashion design.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om the SPSS 12.0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yle image of baby wear brands was classified by 4 factors, 'loveliness', 'chic', 'liveliness', and 'pureness'. This was similar with the results of the color images that were surveyed in advance of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 style image of 7 baby wear brands. Second, gender (boy, girl, and new-borns) affected the style image and not season. Third, the harmony and consistency of the style and color image of 7 baby wear brands were differen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lothing image of 5 baby wear brands by consistency and harmony in style and color images. However, it was evaluated that 2 baby wear brands were needed to plan the style and color image closely as well as harmoniously to make their clothing image definitive.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수. (1998). 브랜드 연상이 고려 상표군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진석. (1990). 샤넬복식에 나타난 기능주의와 클래식 스타일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가혜. (2005).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유.아동복 매장 VMD현황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복희. (2007). 유아복 브랜드 색채 이미지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유진, 이경희. (2000). 의복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감성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7), 976-986.
  6. 구양숙, 박현희, 이승민. (2001). 신세대 주부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유아복 상표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복식, 58, 49-59.
  7. 드롱, 마릴린. (1987). 복식 조형을 보는 시각. 금기숙 옮김(1997). 서울: 도서출판 이즘.
  8. 박기완. (1990). 패션코디네이트. 서울: 유신문화사.
  9. 양월수. (2002). 색채마케팅의 감성 전략에 관한 연구-시각적인 감성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오현정. (1989). 의복의 미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경림, 박숙현, 권미정. (2009). 의복의 조형 요소에 따른 클래식 이미지 분류. 한국의류학회지, 33(1), 160-171.
  12. 장은영, 이선재. (1994). 의류 상품 이미지에 의한 의복 구매과정 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5), 749-764.
  13. 장혜원. (1995). 사회 계층에 따른 의복 행동에 관한 연구-서울 시내 40-50대 주부의 외출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정경원. (2003). 디자인과 브랜드 그리고 경쟁력. 서울: 웅진북스.
  15. 정인희. (1992). 의복 이미지의 구성 요인, 계층구조 및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조주연. (2005). 패션 색채 활용에 있어서 색차에 의한 이미지 배색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주미영. (2000). 토들러복의 이미지 분류와 색채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차미승. (1992). 의복 형태와 색채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천창영. (2002). 광고에서 브랜드 컬러 이미지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최재란, 류숙희. (2010). 의복 스타일별 색채에 의한 이미지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4(2), 266-279.
  21. 추선형, 김영인. (2002).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193-204.
  22. 하종경. (2005). 신세대 주부의 쇼핑성향에 따른 유아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805-811.
  23. 합계출산율. (2006). 통계청. 자료검색일 2006, 9. 13, 자료출처 http://www.kostat.go.kr
  24. 형용사 image scale, I.R.I. Color System. (2001). I.R.I 색채연구소. 자료검색일 2010, 6. 18, 자료출처 http://www.iricolor.com
  25. 홍병숙, 정미경. (1993). 여성 수트의 이미지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복식, 20, 73-82.
  26. Birren, F. (1978). Color & human respons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7. Horn, M. J., & Gurel, L. M. (1988). The second skin. Seoul: Kachi Publishing. Co. Ltd.
  28. McJimsey, H. J., & Harriet, 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Ames, Iowa: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9. Word image scale (150 image words), NCD image scale system. (1982). Nippon Color & Design Research Institute. Inc. Retrieved July 14, 2010, from http://www.ncd-ri.co.jp

Cited by

  1. Extraction of Aesthetic Measure from Various Stabilized Image vol.17, pp.6, 2013, https://doi.org/10.6109/jkiice.2013.17.6.1342
  2. Detection of Aesthetic Measure from Stabilized Image and Video vol.17, pp.11, 2012, https://doi.org/10.9708/jksci/2012.17.1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