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erceived Overseas Cosmetic Brand Personality on the Preference

외국산 화장품 브랜드의 개성 지각이 선호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im, Mi-Ra (Dept. of Skin & Beauty, Songgox Colleage)
  • Received : 2010.06.22
  • Accepted : 2010.10.06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women in 20s~30s who start applying adult makeup and are sensitive to cosmetics and makeup technique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overseas cosmetic brands' personality on their preference to provide overseas cosmetic brands with unique personality marketing resources. The following summar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overseas cosmetic brands' personality factors were aesthetics, performance, interest, competency, and boldness. Second, among imported brands, the most preferred brand was Christian Dior, followed by Bobbi Brown, Chanel, SK-II, and Estee Lauder. Third, the subjects preferred Chanel when they perceived its aesthetics, performance, and competency and Christian Dior when they perceived its aesthetics and performance and did not perceive its boldness as much. They preferred Estee Lauder when they perceived its aesthetics and competency and Bobbi Brown when they perceived its aesthetics, performance, and competency and did not perceive its boldness as much. In case of SK-II, they preferred it when they perceived its aesthetics, performance, interest, and competency.

Keywords

References

  1. 권미영 (2001). "수입화장품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란 (2008). "대학생의 국산화장품과 수입화장품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권 2호.
  3. 김예희, 구자명 (2003). "수입색조 화장품상표이미지 속성에 따른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패션비지니스 7권 4호.
  4. 김유경 (2000).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학회지 49호.
  5. 김은영 (2002). "여대생의 해외유명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욱, 조재립 (2004).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 화장품 중심으로." 대한산업공학회지 춘계학술대회.
  7. 김칠순, 문정혜 (2005). "20대 여성의 화장 행동과 화장품 브랜드 선호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3권 11호.
  8. 노장오 (1994). 브랜드 마케팅. 서울: 사계절출판사.
  9. 문정혜 (2004). "직장여성과 여대생의 브랜드 선호 및 구매 행동에 관한 분석."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민경인 (2006).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미향, 박옥련 (2003). "여대생들의 화장 행동과 의복행동 간의 요인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2권 4호.
  12. 박혜선 (2009). "국내 및 해외 유명 화장품 브랜드의 선호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18권 2호.
  13. 방정원 (2006). "20-30대 직장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백인금 (2006). "화장품 브랜드 개성과 기능적 속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정은 (2007). "유명 브랜드 화장품에 대한 선호와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아시아경제 (2009년 4월 30일 [2009년 6월 5일 검색]) "화장품 매출 불황을 모른다.";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asiae.co.kr
  17. 이명희 (2004). "자기모니터링, 인구통계학적변인과 화장품 구매 행동 및 사용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권 2호.
  18. 이민자, 김주덕 (2005). "여대생의 화장품 구매 행동과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1권 3호.
  19. 이옥경 (2005). "화장품브랜드 개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지영 (1999).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혜은 (2001). "여대생의 수입상품 선호와 수입화장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지연 (2003). "여성 소비자들의 해외유명브랜드 선호와 구매 행동."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두영 (2005).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조선일보 (2009년 6월 20일 [2009년 6월 25일 검색]). "상위 1%가 선호하는 명품.";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chosun.com
  25. 진주영 (2004). "화장품 브랜드 구매와 관련한 브랜드 개성의 역할."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파이낸셜뉴스 (2009년 7월 28일 [2009년 8월 5일 검색]). "화장품 패션 미뤘던 사업 진출." ;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fnnews.com
  27. 한국경제 (2009년 3월 23일 [2009년 5월 3일 검색]). "2008년 최고의 화장품 베스트." ;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hankyung.com
  28. Aaker, D. A. (1996).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rment Review Vol. 38, No. 3.
  29.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4, No. 1.
  30. Batra, R. (1994). The Brand Personaity Component of Brand Goodwill: Som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in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New York: Free Press.
  31. Belk, R. W. (1998). "Possession and Extended Self." Journal of Customer Research Vol. 15, No. September.
  32. Guthrie, M., H. S. Kim and J. H. Jung (2008). "The Effects of Facial Image and Cosmetic Usage on Percept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 12, No. 2.
  33.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57, No. 1.
  34. Kline and Company (2007). Cosmetics and Toiletries USA 2004, available at: www.klinegroup.com/brochures/cia4d/brochure.pdf
  35. Kolter, P. (1997).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ing and Control 4th ed., Prentic-Hall, Inc.
  36. Plummer, B. (1985). "Brand Personality: A Strategic Concept for Multinational Advertising." In Marketing Educators Conference. New York: Free Press.
  37. Stanton, W. J. (1987). Fundamental of Mark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