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rror Analysis of Scale Effect for Dam Submerged Area and the Surrounded Regions

댐 수몰 및 주변지역의 축척 규모에 따른 오차분석

  • Received : 2010.06.21
  • Accepted : 2010.08.20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A dam is effective in stable supply of water required in daily life and reduction of damage from floods. hut a lot of land or houses arc submer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darn heavily affecting environment in surrounding areas. In order to improve and support daily life environment. surrounding a dam, many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and the study has focused on analyzing bow to calculate error characteristics of scale effect for submerged area by using GIS spatial overlay. First, as a result of areal error in submerged area by scale based on a 1/3,000 digital topographic map, it was found that the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s 9.5 times, 9.0 times and 10.5 times more accurate than the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respectively, in the total of areal error, standard error and areal error for submerged area.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areal error in areas surrounding a dam, it has been found that Jinan-eup in Jinan-gun registered the largest difference in area within 2km and 2~5km catchment area by recording 13.8 times and 20.6 times, respectively, in the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compared to the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n addition, in areas out of catchment area within 2km, the area of occupation was very small, so there were no characteristics in error. The out of catchment area, Nami-myeon in Geumsan-gun recorded the largest errors of 31.8 time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the total areal error in area surrounding a dam, standard error and the total areal error in the entire area using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is 7.4 times, 11.8 times and 7.4 times more accurate than the 1/25,000 digital topographic map.

댐은 생활에 필요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여름철 집중강우에 의한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으나, 댐 건설로 많은 토지나 가옥 등이 수몰되고 댐 주변지역의 환경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댐 주변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원하기 위한 사업들이 시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중첩 기능을 이용하여 공간정보 축척에 따른 용담댐 수몰지역과 댐주변지역 면적오차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1/3,000 수치지형도를 기준으로 각 축척별 수몰지역 면적오차를 분석한 결과, l/5,000 수치지형도가 1/2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면적오차의 합과 표준오차 그리고 수몰지역 전체면적에 대한 면적오차의 합의 비율에서 각각 9.5배, 9.0배, 10.5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댐주변지역 면적오차를 분석한 결과, l/5,000 수치지형도가 l/25,000 수치 지형도에 비해 진안군 진안읍이 2km 이내 및 2~5km의 집수구역내 지역에서 각각 13.8배와 20.6배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2km 이내의 집수구역외 지역에서는 점유면적 자체가 매우 작아 오차특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5km 구간의 집수구역외 지역에서는 금산군 남이면이 31.8배로 가장 큰 오차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댐주변지역 면적오차의 합과 표준오차 그리고 주변지역 전체면적에 대한 면적오차의 합의 비율에서도 1/5,000 수치지형도는 1/25,000에 비해 각각 7.4배, 11.8배, 7.4배로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기웅, 박지만, 2004, "주암댐 주변지역의 친환경 농업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유기농업학회지, 제 12권, 제4호, pp. 377-397.
  2. 이승복, 1995,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을 위한 정책 방향", 국토, pp. 77-84.
  3. 이승호, 허인혜, 2003, "대형 댐 건설이 주변 지역의 안개 특성에 미친 영향-주암댐과 충주댐을 사례로", 환경영향평가학회지, 제12권, 제2호, pp. 109-120.
  4. 한국수자원공사, 1990, 용담댐 항공사진측량 보고서.
  5. 한국수자원공사, 1995, 다목적댐 주변지역지원사업 업무편람, pp. 3-27.
  6. 한국수자원공사 용담댐관리단, 용담댐 관리연보, 2009.
  7. 한종규, 김성필, 장동호, 장태수, 2009,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슈퍼태풍 내습시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 침수 피해 규모 추정", 한국GIS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341-350.
  8. 허승욱, 우장명, 2005, "대청.충주댐 주변지역의 친환경농업 발전전략", 한국유기농업학회지, 제13 권, 제1호, pp. 53-68.
  9. 황의호, 이근상, 채효석, 고덕구, 2005, "GIS 공간 분석을 이용한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비 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8권, 제4호, pp. 24-32.
  10. Geun Sang Lee, Dae Youn Jeon, 2009, "The Analysis of Reduction Efficiency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by a Ginseng Area using GIS Tools", 한국GIS학회지, 제17권, 제4호, pp. 431-443.
  11. Geun Sang Lee, Khil-Ha Lee, 2009, "Comparison between a soft and crisp geographic boundary of the soil texture component in hydrologic model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4, No. 6, pp. 640-646. https://doi.org/10.1061/(ASCE)HE.1943-5584.0000031
  12. Tenessee Valley Authority(TVA), 1972, Environmental Statement, Tellico Project, Vol. 1,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13. Vincent Chaplot, Frederic Darboux, Hocine Bourennance, Sophie Leguedois, Norbert Silvera, Konngkeo Phachomphon, 2006, "Accuracy of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the deriv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s in relation to landform types and data density", Geomorphology, Vol. 77, pp. 126-141.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12.010
  14. Zhou Lin, Takashi Oguchi, 2006, "DEM analysis o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rofiles of steep mountainous watersheds", Geomorphology, Vol. 78, pp. 77-89.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6.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