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ndardiz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Ethics in the Interdisciplinary Curricula

통합교과에서의 정보윤리 교육을 위한 표준화된 교수-학습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6.08
  • Accepted : 2010.09.16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standardized teaching-learning model as a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practical effect of the information ethic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hich is practiced in schools as the inter-disciplinary way. A survey was put to teachers and their needs are analyz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draw the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 the teaching examples were collected for contesting. Through this process, a bottom-up approach which tries to analyze the actual class examples and generalizes them, the teaching-learning model has been suggested. As a result,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fficacy of the model between beneficiary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higher index in regard with such items as Information Culture Index, Lesson Satisfaction Degree, and Practice Will than Comparison Group, and the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본 연구는 학교에서 통합교과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청소년을 위한 정보윤리교육의 실천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표준화된 교수-학습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수업요구와 현장 수업사례를 일반화하는 상향식 접근을 통해 정보윤리 교수-학습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정보문화교육 수혜학생과 비교집단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정보문화지수, 수업만족도, 실천의지 면에서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볼 때, 제시된 모델은 체계화되고 다양한 학습방법의 제공으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높여 실천의지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교사에게 적절한 수업방향과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수업의 수월성을 높여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량, 엄명용, 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5). pp.27-35.
  2. 김재희, 김지호 (2002). 인터넷 일탈행동 및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3(2), pp.91-110.
  3. 김옥순 (2000). 정보사회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청소년개발원 주최 세미나 발표논문집, 인터넷 문화: 청소년참여와 사이버일탈, 26-57.
  4. 김현수 (2008). 악성 댓글 문화에 대한 국어 교육적 방안. 새국어교육, 80, pp.125-146.
  5. 김혜정 (2008).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읽기 지도 방향. 독서연구, 20, pp.47-81.
  6. 박찬정 (2007).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 수업 설계 요소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1), pp. 9-19.
  7. 유상미 (2009). 실천적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사이버 일탈행위 분석.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8. 이맹화, 정복문, 김영식 (2008).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실천력 강화를 위한 지(知),정(情),의(意) 통합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4), pp.13-21.
  9. 정희태 (1998). 사이버공간의 일탈행동과 인 터넷 정보컨텐츠의 등급평가 기준. 정보화정책(한국정보사회진흥원), 5(2).
  10. 조동기 (2006). 사이버공간의 일탈 유형과 사회통제의 특성. 정보와사회(한국정보사회학회), 10(0), pp.73-99.
  11. 조찬식 (2001). 사이버공간에서의 네티켓과 일탈행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2), pp.187-202.
  12. 천정웅 (2000). 청소년 사이버일탈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7(2), pp.7-116.
  13. 탁수연, 박영신, 김의철 (2007). 고등학생의 사이버 일탈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및 행동 특성의 관계분석. 청소년학연구, 14(4), pp. 233-258.
  14.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 2008년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서울: 동연구소.
  15. Caplan, S. (2007). Relations among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10(2), pp.234-242. https://doi.org/10.1089/cpb.2006.9963
  16. Karim, N. S. A., Zamzuri, N. H. A., & Nor, Y. M. (2009).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ethics i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big five model of personality. Computer & Education, http://www.elsevier.com/locate/compedu.
  17. Li, Q. (2007). New bottle but old wine: A research of cyberbullying in school. Computer in Human Behavior, 23, pp.1777-1791. https://doi.org/10.1016/j.chb.2005.10.005
  18. Malin, J. & Fowers, B. J. (2009). Adolescent self-control and music and movie piracy. Computers n Human Behavior, http://www. elsevier.com/locate/comphumbeh.
  19. Patermoster, R., Saltzman, L., Chiricos, T. G., & Waldo, G. P. (1983). Perceived risk and social control: Do sanctions really deter?. Law and Society Review, 17, pp.457-479. https://doi.org/10.2307/3053589
  20. Spada, M. M., Langston, B., Nikcevic, A. V., & Moneta, G. B. (2008). The role of metacognitions in problematic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 pp.2325-2335. https://doi.org/10.1016/j.chb.2007.12.002
  21.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정보문화지수 보완개발 연구. 서울: 동연구소(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